생전 창립 ‘이형회’ 회원 포항서 ‘타계 10주기’ 참배 행사
척박했던 한국 화단에 독창적인 구상 회화의 발자취를 남긴 서양화가였던 포항 출신의 장두건 화백은 빼놓을 수 없는 존재다. 그럼에도 그의 업적에 걸맞은 지역의 추모 사업과 사회적 예우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장 화백은 생전 평생 창작에 몰두하며 작가이자 교육자로서 후배 양성에 힘썼다. 또한 주요 미술 단체를 결성하고 후원하는 등 한국 미술 발전에 크게 기여해 국민훈장 석류장, 문화훈장 보관장,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수상한 바 있다.
장두건 화백의 타계 10주기를 맞아 그가 창립한 서양화 단체 ‘이형회’ 회원들은 지난 18. 19일 비가 오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포항에서 참배 행사를 열었다. 그의 예술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모인 50여 명의 이형회 회원과 포항미술협회 회원, 지역 미술인들이 자리를 함께했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미술계는 그의 업적을 체계적으로 조명하고, 지역사회 차원의 추모 사업 추진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 구상회화 거장으로 독창적 발자취 남겼지만
걸맞은 지역의 추모 사업·사회적 예우 등 미흡해
흥해읍 생가는 개인 소유… 묘비 안내판조차 없어
전남도 ‘고 오지호 화백 기념관’ 건립 등과 대조적
“재단설립·생가 복원 등 市 차원 적극적 홍보 필요”
△전남 오지호 vs 포항 장두건···극명한 대조
전라남도는 고(故) 오지호(1905~1982) 화백을 지역의 대표 문화적 자산으로 삼아 매년 기념행사와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오 화백의 고향인 화순군에는 ‘오지호기념관’이 건립돼 그의 생애와 작품을 체계적으로 조명하며, 인근 관광지와 연계한 작품 테마 투어,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등 다양한 문화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특히 오지호의 예술 세계를 재해석한 현대적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민의 문화적 자긍심을 높이고 관광객 유치 효과까지 거두고 있다.
하지만 포항은 장두건 화백(1918~2015)을 위한 공식 기념 시설은커녕 시 차원의 체계적인 연구·교육 지원이나 대중적 홍보 전략이 충분히 마련돼 있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그가 태어난 흥해읍 달전리의 생가는 현재 개인 소유로 방치돼 있으며, 같은 읍내에 위치한 묘소 역시 묘비나 안내판 하나 없이 초라한 상태로 남아 있다.
지역 미술계는 “포항 출신인 장두건 화백의 업적을 포괄적으로 기리기 위한 기념관 건립 등 시 차원의 종합적 노력과 적극적인 홍보가 부족하다”며 유감을 표명하고 있다.
△“포항 대표 화가를 기억할 계기를 마련하라”···지역 미술계의 추모 운동
최근 서양화가이자 전 포항예총회장인 류영재, 최복룡, 원로화가 박수철 등이 주축이 돼 장 화백이 창립한 서양화 단체인 이형회가 그의 서거 10주년을 기념해 42회 정기회원전을 9월 30일부터 11월 7일까지 포항 포스코갤러리에서 개최하고 있다. 포스코의 후원으로 진행된 이번 전시회에서는 그의 대표작을 함께 전시해 시민들에게 그를 알리고 있다. 또한 개인 소유로 넘어간 생가를 시에서 매입해 기념관으로 건립하자는 건의 등을 추진하는 등 생가 복원을 위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문화유산 보존은 미래 투자”···전문가들의 제언
미술평론가 김모 씨는 “장두건의 작품은 포항 근대사의 예술적 가치를 증명하는 자료”라며 “그의 작품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연구할 수 있는 재단 설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생가 복원을 연계한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생과 관광객에게 지역 문화를 알리는 방안도 제시됐다.
일부에서는 포항시의 문화정책 방향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포항은 철강 산업 도시 이미지가 강해 문화예술 분야 투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인데, 이번 사례가 지역 예술가 발굴의 계기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포항, 장두건을 품을 준비가 필요하다
장두건 화백의 유산은 과거의 흔적을 넘어 포항이 세계적 문화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자산이 될 수 있다. 전남의 오지호 화백 사례는 지역 출신 예술가의 작품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홍보함으로써 문화적 위상을 높이는 성공 모델이다. 포항시 역시 장두건의 삶과 예술 세계를 재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시민들에게 널리 알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예술품 전시 이상의 문화적 가치 창출로 포항만의 독특한 문화 브랜드를 구축, 세계적 문화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