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해월 최시형 기념관 두고 “경제성 없다”vs“엉터리 용역” 충돌

배준수 기자
등록일 2025-09-17 19:39 게재일 2025-09-18 2면
스크랩버튼
동대해문화연구소, ‘동학정신 계승·발전’ 기념관 건립 요구에
포항시, ‘경제성 부족’ 용역 근거로 보류… 보고서 신뢰성 논란
최광열 의원 “인문학적 자원… 경제적 타당성 따질 사안 아냐”
Second alt text
동학 제2대 교주 해월 최시형 선생 /사단법인 동대해문화연구소 제공

동학 제2대 교주로서 34년간(1863년~1897년) 동학 정신과 세력을 확산하면서 조직을 체계화한 해월 최시형 선생의 생애와 ‘삼경(하늘, 사람, 만물 공경) 사상’을 조망할 기념관 건립 요구가 꾸준히 나오지만, 포항시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경제적 타당성이 없다’는 용역조사 결과를 근거로 해서다.

최시형 선생은 경주에서 태어났지만, 포항시 신광면 기일(터일)에서 성장했다. 신광면 마북리 검등골은 최시형 선생이 동학사상을 정립했던 정신적 고향이고, 검등골의 왼쪽 골짜기 마을 기일은 최시형 선생이 성장한 곳이다.

포항시가 2023년 산업경제발전연구원에 의뢰한 ‘해월 최시형 기념관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 보고서를 보면 기념관 건립에 따른 경제적 편익과 비용을 현재가치로 환산해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비용 대비 편익 비율(B/C)이 기준인 1.0에 한참 못 미치는 0.4376에 머물렀다. 정혜숙 포항시 문화예술과장은 “기념관 건립은 타당성이 있다는 근거가 없어서 추진이 어렵고, 기념사업 등은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포항시는 지난해 10월 16일 제정한 ‘포항시 동학사상 계승·발전을 위한 지원 조례’에 근거해 각종 기념사업을 추진하고, 동학 창시자이자 초대 교주인 최제우 선생 기념관 등을 갖춘 경주시와 해오름동맹 차원의 문화협력에 나설 예정이다. 

하지만 용역보고서 기본구상에는 기념관이 최시형 선생의 삼경사상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할 수 있고, 포항의 기존 관광 시너지 효과와 함께 신광·흥해 지역의 균형발전을 도울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최시형 선생의 삼경사상을 치유 복지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는 등 새로운 복지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지난 6월 20일 최시형 선생 기념관 건립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한 사단법인 동대해문화연구소의 주성균 이사는 “주민 의견 수렴도 없이 후보지를 정하는 등 용역 자체가 문제가 있었고, 보고서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고 비판했다. 

주 이사는 “지명수배자로 수난의 가시밭길을 걸으면서도 동학의 사상체계를 정립하고, 3·1운동 등으로까지 영향력을 미친 최시형 선생의 활동은 우리가 당연히 기념해야 한다”라면서 “엉터리 보고서 하나로 기념관 건립의 당위성을 부정한다는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최광열 포항시의원은 18일 포항시의회 임시회에서 기념관 건립을 촉구하는 시정질문을 한다. 최광열 시의원은 17일 경북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근대사에 한 획을 그은 역사적 인물인 최시형 선생을 기리는 기념관과 같은 인문학적 자원은 경제적 타당성으로만 따질 수 없는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2만3140㎡(약 7000평)에 달하는 옛 포항환경학교 부지에 해월 기념관과 수련관, 치유농장, 환경학교 등을 갖춰 그 정신을 계승해 나갔으면 한다"고 밝혔다. 

/배준수기자 baepro@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