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출신의 독립유공자 김만득(1916~1950) 선생의 공덕비가 유족 동의 없이 이전돼 한때 논란이 일었다.
김만득 선생의 손녀 김모씨는 지난 8월 15일 제80주년 광복절을 맞아 경주시 안강휴게소 인근에 있던 할아버지의 공덕비를 찾았다. 그러나 평소 방문하던 장소에 공덕비가 통째로 사라진 것을 발견하고 충격을 받았다.
김 씨는 즉시 안강읍을 방문해 이 사실을 알렸고, 안강읍 측은 “기존 공덕비의 관리가 소홀해 민원이 제기되었으며, 경북남부보훈청과 협의해 김 선생의 모교인 안강제일초등학교로 이전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유족들은 “가족이 엄연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사전 협의조차 없었다”며 반발했고, 안강읍사무소는 “후손을 여러 방면으로 찾았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유족들은 “요즘 같은 디지털 시대에 연락처 확보가 어려웠다는 변명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행정 당국이 조금만 더 세심하게 접근했더라면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행정 절차의 미흡함을 지적했다.
하지만 이 사태는 김만득 선생의 유족들이 공덕비 이전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안강제일초등학교 현장을 방문해 공덕비를 확인한 뒤 이전에 동의하면서 원만하게 해결됐다. 또 오는 19일 오전 11시 기념식을 갖고 김만득 선생을 추모키로 했다.
김만득 선생은 1916년 월성군(현 경주시) 안강면 안용리에서 태어나 안강제일초등학교 3회 졸업생이다. 1943년 중국 강서성 주둔 일본군 군속으로 근무하다 탈출해 광복군에 합류해 항일 활동을 펼쳤다. 그의 공로로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됐다.
/최진호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