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 D.C.에서 ‘철강 관세 인하 촉구’ 캠페인을 하면서 포항 철강산업의 절박한 현실을 전한 이강덕 포항시장은 10일 “철강으로 먹고 사는 포항의 운명이 달린 문제여서 어떻게든 위기에 처한 철강산업을 살려야 한다는 사실을 알려 국내외에서 공감대를 얻어 지원을 끌어내기 위해 책임감을 갖고 나섰다”고 소감을 말했다.
영국처럼 최소한 25% 수준으로 조정하거나 제한적 쿼터 예외를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는 이 시장은 “철강산업이 도시의 대부분을 차지해 관세 50% 유지로 직격탄을 맞은 포항과 광양, 당진을 비롯해 캐나다와 멕시코 도시들이 화상회의나 연대를 통해 중앙정부를 대신해서 미국의 동맹국에 대한 철강 관세 인하 촉구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을 보탰다.
이 시장은 특히 “내년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치솟는 물가 등이 유권자들의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골하면 관세 조정 가능성이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라면서 “이 부분에 대한 대비도 끊임없이 해야 하고, 정부도 나름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과 비교되지 않는 가격 경쟁력, 값비싼 전기료 부담에 관세 50% 폭탄, 내년 1월 1일 시행하는 유럽탄소국경세(CBAM) 등 악재가 쌓인 포항의 주요 철강사는 사업장 폐쇄 등으로 생산과 고용이 감소하는 등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 시장은 김덕만 버지니아한인회 회장 등과 함께 1~2일(현지 시각) 한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 품목 관세가 50%로 유지돼 직격탄을 맞은 철강산업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캠페인을 워싱턴 D.C. 백악관과 국회의사당 앞에서 진행했다.
‘동맹국인 한국에 대한 철강 관세 부과를 멈춰주세요’라는 메시지를 담은 현수막을 들고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미국 시민사회에 한국 철강산업의 중요성을 알렸고, 동맹국 사이 신뢰에 기반한 공정한 무역 환경 조성도 요청했다.
/배준수기자 baepr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