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처한 철강산업 돌파구 마련이라는 숙제를 가진 이강덕 포항시장이 미국 워싱턴 D.C.에서 이틀간 ‘철강 관세 인하 촉구’ 목소리를 직접 내면서 미국 사회에 대한민국 생존과 직결된 철강산업의 절박한 현실을 전달해 관심을 끌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김덕만 버지니아한인회 회장 등과 함께 1~2일(현지 시각) 한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 품목 관세가 50%로 유지돼 직격탄을 맞은 철강산업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캠페인을 백악관과 국회의사당 앞에서 각각 진행했다. ‘동맹국인 한국에 대한 철강 관세 부과를 멈춰주세요’라는 메시지를 담은 현수막을 들고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미국 시민사회에 한국 철강산업의 중요성을 알렸다. 동맹국 사이 신뢰에 기반한 공정한 무역 환경 조성의 필요성도 요청했다.
실제 중국과 비교되지 않는 가격 경쟁력, 값비싼 전기료 부담에 관세 50% 폭탄, 내년 1월 1일 시행하는 유럽탄소국경세(CBAM) 등 악재 더미에 쌓인 포항의 주요 철강사는 사업장 폐쇄 등으로 생산과 고용이 감소하는 등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 시장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철강 분야가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한국 철강산업은 국가 안보와 직결된 핵심 산업인데, 동맹국에 50%라는 살인적인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영국처럼 최소한 25% 수준으로 조정하거나, 제한적 쿼터 예외를 적용해야 한다”며 “무엇이라도 해야겠다는 심정으로 나선 오늘, 이 호소가 한미 간 신뢰와 협력을 토대로 국제사회의 호혜적 무역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간절히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과 포항시 방문단은 코트라(KOTRA) 워싱턴 D.C. 무역관에서 이금하 북미지역본부장을 만나 미국 철강 업계 현황과 50% 관세 부과 이유 등의 동향을 파악하고, 철강 품목 관세율 50%에서 더 낮은 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도 타진했다. 이 시장은 “한국 철강산업은 미국 시장에서 과도한 관세 장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면서 “코트라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활용해 지역 우수기업들이 판로를 넓힐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미국 무역대표부(USTR), 상무부, 국제무역위원회(ITC)를 상대로 하는 ‘한미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한국 철강 제품 관세 인하 건의서’를 전달했다. 이금하 본부장은 ”코트라는 한국 기업의 이익을 위해 미국 정부·의회와 긴밀히 교류하고 있으며, 포항시와 전략적인 협력을 통해 지역 우수기업의 무역 판로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답했다.
이 시장은 또 글로벌컨설턴트기업인 DGA Group 본사에서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대통령 입법 담당 보좌관 등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 참여한 저스틴 맥카시, 패트릭 케이시 등 대정부 관계 담당 파트너와 면담했다. 이 시장은 “한국은 미국의 핵심 동맹국임에도 불구하고 철강산업 분야에서 동등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며 “포항은 한국 철강산업의 심장이자 한·미 경제협력의 상징 도시로서, 동맹국의 지위를 적극 반영해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맥카시 파트너는 “한국은 미국 경제와 안보에 있어 필수적인 동반자이며, 한국 철강산업 역시 미국 성장과 고용에 이바지해왔다"며 “DGA Group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정부와 의회를 대상으로 적극 설득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현재 철강에 부과한 고율 관세에 대해 가장 빠른 협의가 진행 중인 캐나다와 멕시코의 협상 과정도 참고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케이시 파트너도 “미국이 조선·철강산업의 부활을 위해 해당 산업 부문에 세계 최고 수준의 역량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기업들의 투자와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며 “포항시와 현실적인 해법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DGA Group은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공보 담당 대통령 특별보좌관을 지낸 니콜 프래지어), 1990년대 한·미 통상협상 당시 미국무역대표부 대표를 역임한 칼라 힐스, 서울에서 오랫동안 주한미국상공회의소장을 맡은 타미 오벌비 등 미국 통상·정책 네트워크 핵심 인사들이 활동하는 전략 컨설팅 회사다.
이번 워싱턴 방문으로 포항시는 철강 관세 인하를 공식 건의하고, KOTRA 및 DGA Group과의 협력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국제사회와의 연대와 정책적 대응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김신 포항시 투자기업지원과장은 "앞으로도 중앙정부 및 해외 관계기관과 공조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회복하고 지역경제 안정을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이강덕 시장은 해외 일정을 마친 후 곧바로 여당 지도부를 포항으로 초청해 심각한 위기에 처한 철강업계의 현실을 보여주겠다는 구상도 갖고 있다.
이 시장은 “야당은 물론 정부와 여당이 직격탄을 맞은 포항 철강산업에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호소하고 있고, 국민도 관심을 두도록 발로 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여당 지도부를 포항에 모셔서 위기에 처한 포항 철강산업의 현실이 국가적으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적극적으로 호소해서 정부와 여당이 관련 정책 추진과 관세 인하 노력을 기울일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배준수기자 baepr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