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철강산업 절체절명의 위기’ 포항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배준수 기자
등록일 2025-08-28 09:27 게재일 2025-08-29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이강덕 포항시장이 5일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을 위한 현지실사단과의 종합상황 점검 회의에서 철강산업 복합위기에 대한 선제적 대응 필요성과 조속한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경북매일 DB

산업통상자원부는 경북 포항시와 충남 서산시에 대해 28일부터 2년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공고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설립 이후 처음으로 지난해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저가 중국산 철강과의 경쟁과 더불어 미국 정부가 한국산 철강에 50%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에서 적자 폭이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절체절명의 위기 상황에서다.  

포항은 제11호 태풍 힌남노 피해를 본 이후 2022년 10월 30일부터 2년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경북도는 글로벌 공급과잉, 불공정 수입재 유입 등으로 포항 철강산업의 현저한 악화가 우려된다고 판단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고, 산업부는 지난 5일 포항 현지 실사에 이어 관계부처와 지자체 실무협의,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 심의를 통해 이번 결정을 했다. 

정부는 우선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와 함께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금융지원도 강화한다. 정책금융기관에서는 중소기업에 만기 연장·상환유예를 지원하고,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에서는 협력업체·소상공인에 우대보증 지원프로그램을 출시한다. 이 밖에도 정책금융기관이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고의·중과실이 없는 경우 담당자를 면책할 예정이다. 

또, 2차 추경으로 신설된 지역산업위기대응 사업을 통해 산업위기지역 소재 주된 산업 관련 기업의 대출에 대한 부담을 낮춰주기 위한 이차보전, 기업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맞춤형 지원(기업지원, 인력양성)을 추가로 지원한다. 이차보전 취급금융기관은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부산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이 선정됐다. 맞춤형 지원은 위기지역 내 수행기관을 선정해 기업들의 수요를 받아 지원된다. 전담 기관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다. 

/배준수기자 baepro@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