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2년 포항, 특수화재 대응 제자리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08-31 15:58 게재일 2025-09-01 1면
스크랩버튼
무인 로봇·열화상 드론 등 갖춘
전담 소방 조직 신설 필요한 데
부지 제공 ‘협의’ 단계에 머물러
Second alt text
영일만산업단지에 조성된 에코프로 전경. /경북매일DB

지난 6월 16일 오전 8시 32분쯤 포항시 남구 대송면 철강 공단에 있는 동국제강 포항공장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난 불은 30시간 만에야 겨우 초진할 수 있었다. 18일 오후 5시 40분쯤에야 완전 진압이 가능했고, 소방서가 추산한 당시 피해 금액은 127억 원에 달한다.

8392개의 배터리 모듈이 연쇄적으로 타면서 유독가스가 발생한 데다 감전과 폭발 위험 때문에 건물 내부 진입은 엄두조차 내지 못했고, 외부에서 물을 주입한 스프링클러로 물을 분사해야 했다. 다행히 화재 초기 건물 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가 작동하면서 화재 피해를 대폭 줄일 수 있었다. 

배상신 포항시의회 의원은 “현재 소방서가 갖춘 장비로는 이차전지 화재에 대응할 수 없고, 열폭주가 시작되면 소방관이 진입조차 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무인 소방 로봇, 열화상 드론, 특수 장비 등 과하다 싶을 정도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023년 ‘이차전지 양극재 특화단지’로 선정된 영일만 산업단지와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도 이차전지 업체들로 채워지고 있지만, 화재 대응 인프라는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 인근 주민들은 “이차전지 화재 뉴스만 봐도 가슴이 철렁한다. 특히, 폐배터리를 다루는 리사이클링 업체에서 불이 번질까 봐 노심초사하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배상신 의원은 “동국제강 ESS 화재 때처럼 불길이 잦아들 때까지 지켜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소재·양극재·리사이클링 업체는 늘었지만, 정작 소방 인프라는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고 비판했다. 

특수 화재 대응 전담 소방 조직 신설이 절실한데, ‘협의’ 단계에만 머물러 있다. 

김성현 포항시 산업단지조성팀장은 “5개년 계획에 반영이 필요하고, 부지 매입비와 인력 충원 등 예산이 확보돼야 한다는 게 소방서의 설명”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방서에서 원하는 부지 위치가 확인되면 부지를 조성해 제공할 계획인데, 이미 내부적으로 의사 타진은 했다”라면서도 “지난 4월 소방서에 부지를 최대한 맞춰 제공하겠다고 밝힌 것이 전부”라고 설명했다. 

포항시 배터리첨단산업과 관계자는 “배터리 팩이 내부에 있어서 육안이나 사전 검사에는 한계가 있어서 수시 점검과 안전 관리 강화를 업체에 요청하고 있다”라면서 “블루밸리 산단보다는 영일만 산단에 이차전지 업체가  더 많이 집적됐지만, 관련 법규에 따라 건물 간 이격 거리가 확보돼 있어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인근 공장으로 불이 옮겨붙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