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이 주관하는 ‘2026년도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19억 원을 확보했다.
전국 36개 지자체가 참여한 이번 공모에서 대구시는 최고 수준의 국비 지원을 받는 성과를 거뒀다.
고정밀 전자지도(수치지형도)는 지형, 도로, 건물 등 각종 공간정보를 1:1000 대축척으로 정밀하게 표현한 디지털 지도로, 도시계획, 재난예방, 시설물 관리 등 도시행정 전반에 활용된다. 특히 지하시설물 관리와 건설·재개발 설계, 건축 인허가, 공원조성 등 시민생활과 밀접한 도시 인프라 구축에 필수적이다.
또 정확한 고정밀 전자지도는 현실 도시를 가상공간에 복제하는 ‘디지털 트윈’의 핵심 기반이 되며,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신산업 지원과 과학적 재난 예측에도 활용된다.
현재 대구 도심 전체 지도(2833도엽, 708.25㎢)는 방대한 양으로 인해 기존 방식으로는 갱신에 10년 이상이 소요됐다. 이로 인해 급변하는 도시의 모습을 적기에 반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구시는 이번 국비 확보를 계기로 지도 갱신 체계를 전면 혁신한다. 2026년 714도엽(178.5㎢) 지도 제작을 시작으로, 갱신 주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한다.
동일 지역을 매년 갱신할 경우 제작 단가가 1/10분 수준으로 줄어드는 점에 착안해, 2025년 갱신 지역(159도엽, 39.75㎢)을 저비용으로 재갱신하고, 절감된 예산으로 신규 지역을 더하는 ‘누적 갱신’ 방식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4년 내 대구 전역의 지도를 최신화하고, 이후에는 연간 약 10억 원의 예산으로 전 지역을 갱신할 수 있는 효율적인 유지관리 체계를 마련한다.
대구시는 연말까지 국토교통부와 실무협의를 거쳐 사업계획을 확정하고, 2026년부터 본격적인 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이번 국비 확보는 단순한 지도 제작 사업이 아닌, 도시 안전과 미래 기술을 준비하는 공간정보 기반 행정혁신의 초석이 될 것”이라며 “정확하고 세밀한 전자지도를 바탕으로 시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도시 대구’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