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외국인, 귀농귀촌 아우르는 지원 체계 구축 등
1960년대 후반 인구 26만을 상회하던 상주시가 10만 벽이 허물어지면서 지역소멸 위기로 내닫자 인구 증가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저출생은 특정 지역이나 농촌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어 자치단체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상주시는 빈약한 재정에도 불구하고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힘든 과정이지만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전입 장려금과 결혼장려금, 전입학생 기숙사비 지원 등 인구 유입 정책은 물론, 미혼남녀 만남 지원 사업, 통합 돌봄 및 임신ㆍ출산 지원 등 저출생 극복을 위한 정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지방소멸대응기금 345억 원을 확보해 지역활력타운, 일자리 연계형 주거타운, 청년 게스트하우스, 외국인 단기숙소, 미래인재 교육플랫폼 등 정주기반 확충 사업을 추진 중이다.
특히, 청년과 외국인 정착을 위한 거버넌스 확대, 문화교류 및 주거지원 정책이 두드러진다.
외국인 유입 확대도 눈에 띈다.
상주시는 법무부 지역특화형 비자사업을 통해 총 200명의 제조업 외국인 인재(F-2-R 및 E-7-4R 비자)를 배정받았다.
이에 따라 커뮤니티센터 및 단기숙소 조성, 문화교류 프로그램 등 체계적인 정착지원 정책을 함께 펼치고 있다.
농촌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2823명을 배정받고, 결혼이민자ㆍ유학생 가족 초청, 기숙사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청년의 지역 정착 유도를 위해 주거 임차비,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료, 구직자 자격증 취득 등 실효성 있는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확장 이전한 청년센터 ‘들락날락’을 중심으로 청년 교류 활성화 프로그램 지원, 창업 아카데미, 로컬브랜딩 창업지원, 청년 드림하우스 조성 등을 통해 청년 유입과 정착 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다.
귀농귀촌인에게는 정착지원금, 주택 수리비, 임대료 지원 외에도 ‘농촌에서 살아보기’, 도시 청년 대상 체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예비 귀농귀촌인의 실제 전입을 유도하고 있다.
강영석 상주시장은 “일자리가 있고, 살기 좋은 정주환경을 조성해 누구나 머물고 싶은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며 “다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