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대구시 추진 ‘안동댐 취수원 사용’ 전면 재검토 민주당, 2022년 ‘대구-구미 맑은물 나눔 협정’ 재개할 듯
대구시가 취수원을 안동댐으로 이전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새 정부에서 전면 재검토하기로 해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역 공약에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 대신 ‘취수원 다변화’라고만 표기하면서 지역 정가에선 일찌감치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은 폐기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지난 1일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이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 관련 비용 등 문제점을 지적하자 금한승 환경부 차관이 “어느 한 대안에 매몰되지 않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원점에서 다시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겠다”고 답해 사실상 대구시가 추진해온 취수원 안동댐 이전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022년 장세용 구미시장(더불어민주당)와 권영진 대구시장의 합의로 이뤄낸 ‘대구-구미 맑은물 나눔과 상생발전 협정’을 재추진 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이 대구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이전하려는 분위기가 감지되면서 대구시도 지난달 안동댐 뿐만 아니라 구미 해평취수장도 취수원 이전지로 검토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하지만 대구취수원 이전은 해당 지역의 ‘동의’가 가장 중요해 자칫 30여 년 끌어 온 대구취수원 이전 사업이 장기간 표류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대구취수원 이전이 가능한 구미 해평, 구미 일선교 상류, 안동댐 중 이전에 동의한 지역은 안동시가 유일하다. 구미 해평과 구미 일선교 상류로의 이전은 해당 지역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대구시의 입장에서는 이미 안동시가 동의를 한 안동댐으로의 이전이 수량과 수질 면에서 가장 이상적인 대안이었지만, 지난해 12월 계엄·탄핵 등으로 이어진 불안한 정국 속에 진척을 보진 못했고, 이 사업을 국가 계획에 반영하기 위한 낙동강 유역 물관리위원회 역시 끝내 열리지 않으면서 다음 정부 과제로 넘어왔다.
대구시 관계자는 “현재 추진 중인 안동댐 이전이 그대로 추진되면 좋겠지만 물 정책에 대한 결정 권한이 중앙정부에 있으니 어디로 이전을 하든 이 문제를 반드시 국정과제에 반영해 대구취수원을 하루속히 옮겨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전지 결정 시 민원을 제기하는 지자체에 대해선 결정권한이 있는 정부가 설득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안동시는 “환경부가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을 취소하겠다는 게 아니라 다시 검토하겠다는 뜻으로 알고 있다”며 “대구에 물을 주고 싶다는 우리의 입장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혔다.
구미시 관계자는 “대구취수원 이전과 관련해 공식적인 입장은 없다”며 “맑은물 나눔과 상생발전 협정도 대구시가 일방적으로 파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취수원 이전사업 추진은 낙동강 페놀 오염 사고 이후 각종 물 오염 사고에 시달리던 대구시가 2009년 구미공단 상류 지역으로 취수장을 이전하도록 정부에 건의하면서 시작됐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