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집을 비운 사이 집에 남겨진 자매가 화재로 숨지는 사고가 부산에서 연이어 발생했다.
지난 2일 밤 11시쯤 부산시 기장군의 한 아파트에서 불이나 8살, 6살 자매가 목숨을 잃었다. 지난달 14일에도 부산시 개금동의 한 아파트에서 화재가 나 10살, 7살 자매가 숨진 일이 있었다. 불과 10여 일 만에 똑같은 사고로 어린이가 숨지는 일이 벌어지자 우리 사회가 크게 충격에 빠졌다.
두 사고는 모두 부모가 일을 하러 나간 사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져 더욱 안타깝게 했다. 또 노후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비한 초기 진압장비가 없었던 점도 비슷하다. 사고 경위를 꼼꼼히 살펴 정부 차원의 근본대책을 마련해야겠다.
정부도 부산 어린이 화재 참변과 관련해 긴급회의를 열고, 우선 저소득가구를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집중 지원하고, 심야돌봄에 대한 수요 조사도 벌이기로 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복지부의 아동 실태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주 양육자가 아동을 방임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26.5%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민기초생활수급 가구의 방임 경험 비율은 38.9%로 일반 가구보다 1.5배나 높았다. 또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50% 미만인 경우 방임 비율이 30.7%에 달해 20%를 기록한 다른 소득구간보다 높았다 고 한다.
위의 조사를 근거로 보면 저소득 맞벌이 가구에서 어린이 방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오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경제활동을 위해 부모가 모두 바깥으로 나가야 하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가 이번 사고와 긴밀한 관련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노후 아파트의 화재 취약점이 보완돼야 하는 문제도 있으나 저소득 가구의 어린이를 보호할 심야돌봄이나 아동청소년 야간보호 사업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야 한다.
이번 아파트 화재 어린이 참사가 부산에서 일어났지만 전국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는 사고다. 부산 사고를 반면교사 삼아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지자체 등은 적극적 행정을 펼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