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까지 대구 대백프라자갤러리 심전 안중식 ‘삼선암’· 소정 변관식 ‘진주담’ 등 전통회화·현대적 감각 더한 다양한 작품 전시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금강산의 자연미와 민족정신을 담은 유명 화가들의 작품 및 아카이브 자료를 한자리에 모아 한반도의 상징적 공간인 금강산의 의미를 되새긴다. 대구 대백프라자갤러리는 오는 7월 1일부터 6일까지 A관에서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기획전 ‘금강산에 그리움을 담다’를 개최한다.
금강산은 단순한 자연 경관을 넘어, 한민족의 정서와 역사적 상징성을 담고 있다. 한국전쟁 이후 45년 만에 시작된 1998년의 금강산 관광은 남북 교류의 상징이었으나, 2008년 중단된 이후 현재는 ‘그리움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금강산의 다양한 면모를 조명하며, 전통 회화의 맥을 잇고 현대적 감각을 더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전시에서는 1910년대 금강산을 여행하며 제작된 심전 안중식(1861~1919)의 ‘삼선암’과 ‘금강산의 화가’로 불리는 소정 변관식( 1899∼1976)의 ‘외금강 삼선암’, ‘진주담’ 등을 통해 금강산의 힘차고 굳센 화풍을 감상할 수 있다. 변관식은 평생 금강산을 ‘자신을 지켜준 힘의 원천’이라 여겼고, 제2의 고향으로 생각하며 일생 동안 금강산을 그렸다.
청전 이상범(1897~1972)은 1940년경 동아일보를 사직한 후 금강산 기행을 통해 암울했던 마음을 달랬으며, 금강산의 실경을 담아 지역의 아름다움을 남겼다. 이번 전시의 출품작 ‘만이천봉 금강산 24승’은 삼선암, 총석정, 명경대, 유점사 등 금강산의 명소 24곳을 담은 화첩으로, 이상범 특유의 부드러운 화풍이 돋보인다. 화첩을 펼쳤을 때 총 길이 약 7m에 달하는 대작으로 사생풍의 사실적인 묘사와 맑고 투명한 담채의 효과가 특히 돋보인다.
북종화 계통의 화가로서 한국 풍속화를 새로운 경지로 끌어올린 이당 김은호(1892~1979)의 ‘금강하적’은 1940년대 제작된 수묵화로, 한국 산천에서 받은 감흥과 미감을 민족미술로 승화시킨 작품이다. 월북화가 청계 정종여(1914~84)의 ‘보덕굴’은 사실적 산수화로 금강산의 비경을 담았으며, 박생광의 ‘금강산 8폭 병풍’은 동양화 재료로 서구적 조형방식을 수용한 전위적 시도가 돋보인다. 일본화가 토미오카 텟사이는 일본의 메이지, 다이쇼시대 문인화가로 일제강점기 금강산을 기행하며 그린 ‘금강산도’를 이번 전시회 선보일 예정이다.
1998년 금강산 관광 재개 이후에는 남한의 화가들이 직접 금강산에 올라 절경을 화폭에 담았다. 대표적으로 소산 박대성의 100호 대작 ‘삼선암’과 약 6m 길이의 ‘금강산 사계’는 금강산 사계절의 아름다움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작품이다. 송필용, 권용섭의 작품도 함께 선보이며, 북한 화가 최원수의 ‘금강산 삼선암’도 화려한 색채로 삼선암 절경을 담았다. 이 외에도 취봉 이종원, 추강 이형섭의 작품과 민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금강산 풍경 엽서 30여 종, 관광 안내도, 현대아산이 제작한 금강산관광 안내 책자 등 다양한 자료들도 전시된다.
김태곤 대백프라자갤러리 큐레이터는 “장대한 구도와 표피적 묘사, 물성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그려진 금강산은 오랜 세월 한민족의 상징으로 자리해 왔다”며 “이번 대백프라자갤러리 특별기획전 ‘금강산에 그리움을 담다’는 시각예술의 관점에서 금강산의 진정한 가치와 아름다움을 재조명하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