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물부족” 상주 반발… 대구취수원 안동댐 이전 난관

곽인규 기자
등록일 2025-05-28 11:49 게재일 2025-05-29 5면
스크랩버튼
낙동강물관리위 상주서 경청회 
600여명 시민들 참석 큰 관심
“일방 추진 말고 충분히 논의를”
 또 다른 물분쟁으로 확대 우려
Second alt text
대통령직속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상류) 변경안에 대한 상주시 주민경청회를 개최하고 있다. /상주시 제공

안동시와 대구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사업이 새로운 지역갈등으로 점화하고 있다.  상주시를 비롯한 낙동강 유역 지자체들이 용수난을 우려하며 강하게  반발해 지역간 또다른 물분쟁으로 확대될 조짐이다. 

대통령직속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 27일 오후 상주문화회관에서 대구취수원 안동댐 이전 사업과 관련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상류) 변경안에 대한 상주주민경청회를 개최했다. 경청회에는 600여 명의 상주시미들이 참석하며 취수원  이전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날 경청회에서 환경부는  대구시의 안동댐 계약 물량에서 추가 공급은 없으며, 안동댐의 1일 46만t을 취수하는 것은 최대 가뭄상황을 고려한 것이어서 상주지역의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의 부족은 없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앞서 대구 취수원 이전과 관련해 대구시와 구미시 간의 합의가 파기된 뒤 2023년 11월 대구시가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대안으로 제시하자 환경부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상류) 변경안을 확정해 2024년 11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했다.

하지만 상주시민들은 안동댐 하류에서 하루 46만 t의 원수를 취수해 대구시 문산정수장으로 공급하는 사업계획에 대해 하천유지수가 줄어들면서 수질오염 악화와 생활·농업용수 부족 등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상주시민들은 환경부의 사업설명에 대해 “지역합의를 무시하고 대구시와 안동시만의 합의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있을 수 없고 상주지역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신중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하게 요구했다. 

이어 “상생발전을 기본원칙이라고 하면서 대구시의 깨끗한 물 확보를 위한 사업이 상류지역 주민들의 걱정과 근심을 일으키고 또다른 환경문제를 일으켜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환경부와 대구시의 사업추진 의지가 강하지만 낙동강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규모 국가사업인 만큼 신중한 검토와 충분한 합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상주시의 주장이다.

이때문에 지역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채 사업이 급하게 추진되는 것에 대한 상주지역 우려의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는 만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상주시 관계자는 “지역주민들이 물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면서 대구시 취수원 안동댐 이전을 엄청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와 환경부는 지역의 목소리를 경청해 낙동강을 이용하는 모든 지자체의 주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물관리방안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