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을 일주일여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양당의 선거전이 격해지고 있다. 이재명·김문수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좁혀지면서, 상대 후보에 대한 반감을 극대화해 판세를 유리한 구도로 만들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양당은 2차 TV토론회를 마치고 서로 김문수(국민의힘)·이재명(민주당) 후보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 토론 현장에서 오간 진흙탕 공방이 형사고발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2차 토론에서 김 후보는 모두발언부터 ‘가짜 총각’, ‘검사 사칭’을 거론하며 이 후보를 공격했고, 이 후보는 김 후보의 ‘소방관 갑질’ 논란을 거론하며 응수했다.
민주당이 25일 고발한 내용은, 김 후보가 지난 24일 경북 상주 유세 중 한 유권자로부터 문경 사과 한 바구니와 상주 곶감 한 상자를 받고, 김천역 유세에서 김천 특산물 한 상자를 받았다는 것이다. 선거운동 과정에서 유권자로부터 불법으로 물품을 받았으니 공직선거법을 위반했다는 주장이다.
국민의힘 네거티브 대응단도 이날 이 후보가 ‘HMM 부산 이전’, ‘일산대교 통행료 무료화’, ‘커피 원가 120원’ 등의 발언이 허위 사실 공표에 해당하는 범죄행위라며 경찰에 고발했다. 국민의힘은 “이 후보가 당선을 목적으로 습관적으로 거짓말을 일삼고 있다”고 했다.
이재명·김문수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최근 한 자릿수로 좁혀지고 있다. 지난 24일 발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는 이재명 후보 46.6%, 김문수 후보 37.6%로 두 후보 지지율 격차가 9%p로 좁혀졌다. 가상 양자 대결 조사에선 이 후보 51.1%, 김 후보 43.9%로 7.2%p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오는 28일부터 여론조사 ‘깜깜이(공표금지)’ 기간에 들어가면 네거티브 공세는 더욱 심해질 것이다. 네거티브전의 일종인 흑색선전과 인신공격은 유권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하면서 올바른 후보 선택을 가로막는 최대의 적이다. 양대 정당과 후보들은 남은 선거운동기간 만이라도 네거티브 유혹에 빠지지 말고, 유권자에게 정책과 비전으로 수권능력을 심판받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