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네온사인

김경아작가
등록일 2025-04-22 20:56 게재일 2025-04-23 17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네온사인이 켜진 상가 간판들. 

아파트 앞 상가 간판의 네온사인이 눈에 들어온다. 붉고 푸른 빛깔이 번갈아가며 꺼졌다 켜지기를 반복하다가 어느 순간 꺼져버리기도 한다. 어제도 그랬고 오늘도 그렇다. 하지만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다. 언뜻언뜻 다시 살아나는 그 빛은 마치 잃어버린 기억을 애써 떠올리려는 사람처럼 애달프다. 마치 마음이 조금씩 닳아 없어지는 것처럼 서서히 꺼져간다.

몇 년 전 해프닝으로 넘겼던 일들이 실상은 엄마의 기억의 편린들을 갉아내고 있었다. 처음에는 웃어넘겼고 엄마는 감정의 기복이 조금 많아졌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엄마는 점점 불안정해졌고 이유를 알 수 없는 단어들이 섞여 나오기 시작했다.

“내 통장에서 돈이 자꾸 없어져. 그 은행 아가씨가 훔쳐 갔어.”

그냥 노인성 불안감쯤으로 치부해 버리기에는 엄마의 확신이 너무 집요했다.

네온사인이 꺼질 듯 말 듯 흔들리는 것처럼 엄마의 기억도 나날이 깜빡이며 흐려져 갔다. 엄마는 날마다 불편한 걸음으로 은행을 찾아가 한 명의 직원을 붙잡고 내 돈을 돌려 달라고 채근했다. 혼자의 힘으로 역부족이라 느낄 땐 경찰서를 찾아가 엄마의 힘들었던 지난 이야기와 적금을 어떤 돈으로 모아 왔고, 이 돈은 앞으로 우리 손주들 등록금 줘야 하는 용도인데 은행 직원이 엄마를 무시해서 다 가져갔고 거짓말을 한다고 신고까지 했다.

그 때까지도 우리는 엄마가 착각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착각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분명하고 마치 우리가 무언가를 놓치고 있는 것만 같았다. 엄마는 자식들을 불러 모았다. 우리가 은행을 찾아가 엄마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엄마의 설움을 해결해 달라는 것이었다. 엄마의 소중한 돈을 찾아달라는 것이었다. 결국 우리 자매는 은행을 찾았고 전산 기록을 꼼꼼하게 살펴보았지만 은행 직원의 부도덕함을 찾을 수는 없었다. 엄마는 불면의 밤을 보내며 날마다 억울함을 호소했다.

엄마를 모시고 병원을 찾았다. 우리가 염려했던 진단을 받고 눈물이 났다. 젊은 시절 가난에도 가족을 지켜냈던 엄마였다. 남편의 깊은 병환과 무너진 집더미 앞에서도 눈물을 보이지 않았던 엄마였다. 날마다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현실 앞에서도 우리들 옷매무새를 깔끔하게 다려 주었고 단정히 머리를 빗겨주었던 엄마였다.

“내가 뭘 놓친 걸까... 내가 잘못한 걸까...”

허공을 바라보며 질문을 던졌던 엄마의 말이 아직도 귓가에 맴돈다. 아무도 답을 줄 수 없는 물음이었다. 그저 그 말의 무게가, 우리가 미처 알아채지 못한 시간의 깊이가, 가슴을 짓눌렀다. 돌이킬 수 없는 시작이었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단 하나였다. 엄마가 엄마이기를 포기하지 않는 것. 우리가 자식이기를 놓지 않는 것. 기억은 사라져도 마음은 남고, 말은 잊혀져도 사랑은 흐를 것이기에 꺼져가는 불씨 속에서도 따스함은 남아 있는 것이다.

Second alt text
김경아 작가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살아간다. 이름으로, 말투로, 추억의 향기로. 엄마는 기억의 끈을 놓아가면서도 자신이 지켜야 할 무언가는 끝끝내 붙들고 있었다. 그것은 돈이 아니었고 엄마로서의 자리였다.

여전히 바쁜 딸들의 삼시세끼를 챙겼다. 손끝으로 반찬을 무치고 밥을 안치고 간을 보며 흘리는 그 작은 한숨 속에 엄마의 하루가 반짝였다. 잊어가는 와중에도 끝내 잊지 않으려 했던 그것, 그것은 우리가 아니었을까. 나는 엄마의 그 손길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꺼져가는 불빛 아래에서도 선명히 빛나는 따뜻한 엄마의 마음을.

문득 거리의 네온사인을 바라본다. 때로는 현란하고, 때로는 반짝이고, 때로는 사라지기도 하는 그 빛들 속에서 사람들의 하루와 사랑을 본다. 누구나 삶의 한구석에서 저마다의 빛을 간직하고 산다. 언젠가 흐려지더라도 그 빛은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오래도록 살아 남는다. 오늘도 그 작은 빛 하나하나에 마음을 기울인다. 그것은 누구의 전부일지 모르니까.

엄마는 계절을 놓쳐도 여전히 밥은 거르지 않는다. 겨울의 끝자락에서 모든 잎을 다 내려놓고 가지 하나 붙들고 있는 겨울나무처럼 기억의 옷을 벗어낸다. 진짜 사랑은 기억이 아니라 손끝에 남는 것이라는 걸 말하듯 오늘 저녁에도 반찬을 쓱쓱 무친다.  /김경아작가 

 

김경아의 푸른 돋보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