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그룹 업무협약식… 포스코, 현대제철 美 제철소 지분 투자 추진 이차전지 소재 협력으로 ‘캐즘’이후 대비 안정적 공급망 구축 나서
한국 제조업의 상징 포스코그룹(이하 포스코)과 현대자동차그룹이(이하 현대차)가 글로벌 미래 모빌리티 소재시장 선점을 위해 뭉쳤다.
21일 포스코는 현대차 사옥에서 현대자동차그룹과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서’ 체결식을 가지고, 글로벌 경제블록화와 급변하는 통상환경 속에서 탄소저감 철강 및 이차전지 시장에서 두 회사의 경쟁력을 발휘해 지속가능한 시너지를 창출하기로 약속했다. 이날 MOU에는 현대자동차그룹 한석원 기획조정본부장(부사장)과 포스코홀딩스 이주태 미래전략본부장(대표이사 사장)을 비롯해 양사 경영진들이 참석했다.
이번 MOU 체결로 포스코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미래 모빌리티용 강재와 이차전지소재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고, 현대차는 완성차 시장의 글로벌 Top3 메이커로서 맞춤형 고급소재를 안정적으로 조달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우선 철강분야에서는 두 회사가 통상환경 극복을 위한 글로벌 합작투자부터 탄소저감 철강생산을 위한 효과적인 탄소중립전환까지 협력한다. 특히 두 회사 협력의 첫 결실로 포스코는 철강사업에서 완결형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최근 현대차가 발표한 대미 철강투자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포스코는 지난 10여년간 보호무역장벽으로 제한되었던 북미 철강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하게 됐다.
포스코는 이번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 합작투자를 통해 미국과 멕시코지역에 원활한 소재를 공급할 수 있어 유연한 글로벌 생산·판매체제를 갖추게 됐다. 포스코는 현재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Posco-Mexico)을 비롯해 북미(미국/멕시코)지역에 철강가공센터를 운영하며 많은 완성차 메이커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다.
이차전지소재 분야에서도 포스코는 글로벌 Top3 메이커 현대차와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해 캐즘(Chasm)이후 글로벌 EV시장에 적극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포스코의 리튬부터 양/음극재 등 이차전지소재 사업 경쟁력과 현대차의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기술력을 시너지로 공급망 구축과 차세대 소재개발 분야 등에서 함께 지속가능한 협업점을 찾을 계획이다.
이번 전략적 제휴는 포스코 장인화 회장 취임이후 해외 고성장, 고수익 시장에서의 철강사업의 입지 강화를 위해 중점 추진해온 ‘완결형 현지화 전략’과 이차전지소재시장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 미래를 대비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양사간 논의가 추진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