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산불, 그 후

백소애 시민기자
등록일 2025-04-22 19:52 게재일 2025-04-23 12면
스크랩버튼
잿더미가 된 집과 농작물, 조상의 산소까지 ‘망연자실’… 안타까운 인명피해도 속출
재난 시스템 체계화 등 숙제 많아… 이재민 피해복구 지원·트라우마 치유도 필요
Second alt text
산불이 지나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그야말로 사상 초유의 대형 산불이었다. 지난달 22일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에서 시작돼 역대 최악의 피해의 낸 경북 북부지역의 산불은 강한 바람과 건조한 날씨에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인근 지역으로 번져 일주일간 시·군민을 공포에 떨게 했다. 

3월 25일, 불은 안동시 길안면과 풍천면으로 향했고 오후부터 안동 시내는 시커먼 연기로 자욱했다. 시민들은 ‘설마 무슨 일이 있을까?’ 걱정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울리는 긴급재난문자를 허투루 여기지 않았다. 위험지역의 주민들은 마을회관으로 대피하거나 안동 시내로 이동해 체육관, 학교 등지로 대피하기도 했다. 빠른 속도로 번지는 불길과 함께 급히 차를 몰고 대피한 주민들도 있었다. 일단 대피했다가 다시 집으로 가 막 지붕으로 옮겨붙은 불길을 잡거나 마을주민들이 합심해 호스로 물을 뿌리며 불과 맞서기도 했다. 절박했으나 집을 지키고자 할 수 있는 최선이었다. 

 

불은 그 규모를 확장하면서 급기야 고속도로 통제가 이루어지고 안동은 고립된 도시가 되어버렸다. 안동 시내에까지 대피령이 내려졌을 때 시민들은 믿기 어려운 현실에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아파트 입구에서 도로까지 이어진 차량 행렬은 전쟁을 피해 달아나는 피난 행렬과 같았다. 학교는 휴교령이 내려졌고 직장인은 단축 근무를 하기도 했다. 자욱한 연기에 눈물이 났고 집안에서도 마스크를 써야 할 정도로 나쁜 연기를 흡입했다. 공기청정기를 판매하는 매장마다 품절사태가 빚어지고 급한 마음에 진열된 공기청정기를 사 가는 시민들도 있었다. 

 

잿더미가 되어버린 집을 보고 눈물을 짓고 타버린 농작물 앞에서, 사라진 조상의 산소 앞에서 망연자실했다. 소를 두고 올 수 없다고 고집을 피우는 남편 때문에 속상해하는 아내와 키우는 강아지만이라도 대피하라고 목줄을 풀어준 몸이 불편한 촌로의 사연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급박한 사연들이 불길 속에 묻혔다. 안타깝게도 이번 산불로 5개 시군에서 26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긴박한 와중에 미처 불길을 피하지 못한 이들이 숨지기도 하고 불길을 잡기 위해 애쓰던 소방헬기 운전자가 사망하기도 했다. 특히나 이번 산불은 산림당국의 합동 감식 결과 성묘객의 실화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와 공분을 자아냈다. 

 

디지털 시대에 SNS나 지역 커뮤니티의 발 빠른 소식이 때론 가짜 뉴스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동요하는 주민들에게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는 ‘관리사무소 직원들이 비상대기하고 있으며 위험이 있으면 즉시 알릴테니 집안에서 안전하게 있으라’는 안내방송을 내보낼 정도였다. 

 

3월 27일 오후 늦게 의성에 비가 내릴 때에도 안동에는 비가 내리지 않았다. AI가 등장하는 최첨단 시대에도 하늘에서 내리는 비를 기다려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었다. 우리가 잊고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자연은 언제나 힘이 셌다. 

 

앞으로 절대로 생기지 말아야 할 재난이지만 언제 또 생길 수 있을 재난인지 모른다. 건조한 계절 입산자들에 대한 경계, 불이 났을 때 고령자들은 디지털 격차가 해소돼 빠른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하고 시민들에게는 지역별로 어디로 대피하라는 안내를 해서 혼란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위험에 대비해 비상용 가방을 준비해두고 밤새 잠 한숨 못 잔 그 시간 동안, 이러한 거대한 재난에 개인은 얼마나 연약한 존재인가를 깨닫게 되었다. 재난에 대한 시스템 체계화, 소방 인력에 대한 처우 개선 및 소방 장비 충원 등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무엇보다 이재민에 대한 피해복구 지원과 더불어 화재 트라우마를 겪는 이들에 대한 심리 치유도 함께 이루어졌으면 한다. 이 어려움을 하루빨리 이겨내 지역민의 일상이 되찾아지기를 기원할 따름이다.

/백소애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