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가 나에게 ‘훌라’를 할 줄 모른다고 놀려댄다. 난 훌라를 할 줄도 모르고 배울 마음도 별로 없다. 승부 근성은 있어 돈 따먹기라면 뭐든 하는데 이상하게 훌라는 흥미가 별로 없다. 같은 모양이 나오면 그냥 먹어 점수 나는 게 아니라 빼고 더하고 하는 게 복잡한 것 같아서다.
워낙 단순 무식형 인간이라서 그런지 깊이 생각하기 싫은 성격도 한몫을 하는 것 같다. 친구들이랑 놀러 가서 밤새도록 훌라를 치고 있기에 개평이라도 뜯어 맥주 마시러 나갈까 싶어 기웃 되다가 웃음이 피식 나왔다. 이건 내 어릴 때 치는 ‘나이롱 뻥’과 똑 같지 않은가. 카드로 하면 ‘훌라’이고 화투로 하면 ‘나이롱뻥’이다. 난 또 마작같이 아주 고급스러운 노름인 줄 알았더니 한낱 나이롱뻥인 것을 알았으면 나도 익혀 놓을 걸 그랬다.
나는 지금도 친구들이랑 모임에서 화투도 치고 포커게임도 한다. 물론 그냥 재미로 하는 것이다. 조금이라도 따면 개평도 주고 기분이 즐겁다. 명절 때도 꽤나 오랫동안 친척들 간에 화투를 치기도 했지만, 요즘은 다들 바쁜지 제사만 지내고 뿔뿔이 흩어지는 통에 그 흔한 윷놀이 한판 할 시간도 없다. 뭐가 그렇게 바쁜지 모르겠다.
어릴 적 농한기 때 화투판이 벌어지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 민화투와 육백 같은 화투 놀이는 어른들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다들 즐겼던 놀이였다. 조선 시대 때부터 투전이란 놀음이 유행했다고 하는데 가만히 보면 오늘날 ‘짓고땡’이다. 내가 제일 싫어하는 노름이다. ‘구구이’ ‘사륙장’이란 용어가 자연스럽게 입에 붙을 정도로 숫자계산에 능해야 하는데 다섯 장 화투 들고 이리 맞추고 저리 맞추는 데 세월 다 보내고 있으면 욕이란 욕은 다 먹게 된다. 그래서 머리 나쁜 인간은 절대 못 하는 짓고땡은 별로였다. 그래서 나와 많은 돈이 오가는 도박은 멀어질 수밖에 없었다.
가장 적은 노력으로 가장 큰 소득을 올리려는 인간의 속성이 도박 속에 찌릿한 맛으로 자리 잡고 있기에 그 맛에 한 번 길들여지면 사람이 정신 줄을 놓는다. 돈 잃고 인간성 다 보여주는 게 바로 노름이다. 중독 또한 심각하다. 국내 도박 시장 규모가 GDP의 9%에 달하고 국내 성인의 10%가 도박중독자이고, 도박중독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연간 80조 원으로 추정된단다. 도박이 주(酒)·색(色)보다 더 위험하다고 한다. 기가 막히는 일이다. 어머니는 늘 말씀하셨다. 남자가 조심해야 할 것은 첫 번째는 여자이고 두 번째는 술이고 세 번째는 도박이라고 누누이 강조하셨다. 어머니는 우리 자식들이 성직자가 되기를 바라시지는 않은 것 같은데 왜 그런 말씀을 하셨는지 당시엔 이해가 가지 않았지만 지금은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하지만 어머니의 걱정은 여자, 술 그리고 도박 순인데 도박의 무서움을 간과하신 것 같다.
봄맞이 집 청소를 하는데 장롱 속에서 난데없는 화투 한모가 툭 떨어진다. 몇 번 치지 않은 듯 제법 깨끗한 화투였다. 집사람의 눈빛이 심상찮게 변한다. 어머니도 안 계시는데 한판 치자는 신호를 보낸다. 내 주머니에 돈 냄새를 맡은 모양이다. 몇 시간 안 가서 다 털렸다. 그날 뉴스에 대규모 도박단이 검거됐다는 방송이 나온다. 그중 40명이 주부란다. 집사람과 내 눈이 마주쳤다. 씩 웃는 그 모습에 오줌 지릴 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