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오후에 퇴근해 토요일과 일요일은 쉬고, 월요일 출근하는 주 4.5일 근무제가 국민의힘 대선 공약으로 추진된다고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주 4일 근무제를 주요 민생 의제로 선정해 공약화하는 걸 검토 중이라고.
일과 개인의 삶이 조화롭게 균형 잡히기를 원하는 21세기 노동자들의 요구에 정치권이 진지하게 응답한 격이라 많은 이들이 관심 깊게 지켜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최근 국민의힘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주 5일제와 주 52시간 근로 규제는 시대의 흐름과 산업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획일적인 제도라 생산성과 자율성 모두를 저해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권 비대위원장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하루 8시간 기본 근무 외에 1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엔 4시간만 근무한 뒤 퇴근하는 방식을 시범적으로 도입한 울산 중구청의 사례도 언급했다고 한다.
더불어민주당이 검토하는 주 4일 근무제와 국민의힘이 공약으로 내놓은 주 4.5일 근무제 중 어떤 것이 노동자들의 워라밸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인지는 향후 제도 실행방안 등이 구체화되면 비교해 볼 수 있을 터.
오래전 이야기가 아니다. 20세기 한국의 노동자 대부분은 토요일 오전에도 일하는 주 5.5일 근무를 했고, 업종에 따라서는 일요일과 국경일 특근도 거부할 수 없는 경우가 흔했다. 돌아보면 ‘노동자 잔혹시대’였다.
이제 ‘적절한 휴식이 일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게 상식으로 받아들여지는 시대가 됐다. 이는 부정할 수 없는 좋은 변화다. 사회의 진보와 발전 방향은 ‘성실히 일하는’ 사람들의 환한 웃음을 지향해야 마땅하지 않겠는가.
/홍성식(기획특집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