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가 내 생각과는 전혀 맞지 않는 말과 행동을 한다. 나의 관점에서 보면 논리가 없고, 궤변이다. 왜 저런 생각이 나올 수 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정확한 사실을 근거로 설득해 보려 노력하지만 잘되지 않는다. 이미 확정 편향적 시각으로 모든 잣대를 들이대는 사람에게 그 어떤 이야기도 들리지 않는다는 것은 알만한 사람은 안다. 오직 자신의 사고에 몰입되어 생각이 다른 타인을 경멸한다. 세대 간의 간격이 넓어 서로의 사고 폭이 좁다면 이해라도 하겠지만 동시대 같은 교육을 받았으면서도 어떻게 이렇게 다를 수가 있는지 신기하기도 하다. 하긴 쌍둥이라도 의견차는 존재한다니깐 크게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삶의 부조리란 개인의 욕구와 사회 현실의 불일치에서 오는 것이며, 이 부조리를 인식하는 것이야말로 참된 인간의 기본조건이라고 말한다. 말을 이렇게 하니 참 어렵다. 하지만 쉽게 풀이할 마땅한 말도 없다. 오늘 대통령이 탄핵당하든 기각이 되든 어떤 결론이 헌법재판소에서 나올 것이다. 그 결과를 보고 이해관계나 이데올로기 성향에 따라 반 미치는 사람들이 속출해 난리가 날 것 같다. 이들은 개인의 욕구와 사회 현실의 불일치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울분을 토하고 과격해질 조짐이 보인다. 이미 여러 곳에서 좋지 않은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갈수록 흥분도는 더해갈 것이다.
일반적인 윤리의식과 통상적 일반인의 상식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지니 어안이 벙벙하다. 마치 카뮈의 이방인이란 작품 속에서 어머니의 죽음을 보고도 슬퍼하지도 않고 살인을 저질러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주인공을 보는 것처럼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 사태를 목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내 생각과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이해되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분노에 휩싸여 폭력까지도 불사할 정도로 흥분한다. 모두가 나만의 사고에 몰입되어 있다. 자기가 제일 똑똑하고 자기 생각이 매몰되어 빠져나오지 못한다.
“내 마음 같지 않네”
돌아가신 할머니에게서나 들을 법한 말을 요즘 사람에게 들으면 조금 뜬금없다. ‘생뚱맞다’라고 표현해야 하나. 사람 마음이 똑같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더 이상한 논리이기 때문이다. 내 생각과 정반대인 사람은 분명 존재한다. 사람들은 절대 한 방향만 바라보지 않는다. 문제는 내 생각과 다르다고 해서 내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보지 않는다고 해서 물리적 힘으로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냄새나는 홍어를 먹기 싫은데 누군가가 총이나 칼을 얼굴에 들이대면서 먹으라고 강요한다면 기분이 어떨까? 마누라 잔소리가 듣기 싫다고 해서 밥상을 엎거나 주먹으로 얼굴을 가격하는 것을 보고 ‘맞을 짓 했다’라고 이야기할 것인가. 그 누구도 타인의 생각을 강요받을 이유는 없다. 난 냄새 나는 홍어가 먹기 싫다. 맞아가면서 먹는 것은 더 싫다.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물리적인 힘을 사용해서 강요하는 것은 파쇼적 사고방식이다. 이런 방식의 끝이 그렇게 좋지 않았음을 우린 배웠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자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현실은 늘 극단주의자들에게 선동당하고 급기야 폭력적으로 변하고 만다. 참으로 참담하고 안타까운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