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어 해 무렵부터 가깝게 지낸 사람이 있다. 전공만 다를 뿐, 같은 대학에서 학생들 가르치며 자기 가족을 사랑하는 교수다. 예전에도 인사 정도는 하고 지냈지만, 퇴임을 앞두고 자주 만나서 밥도 먹고, 이런저런 얘기도 나누는 관계로 진척된 것이다. 그러나 삶은 결국 인연생(因緣生) 인연멸(因緣滅)이란 작은 깨달음을 일깨운 사건이 일어나게 된다.
12·3 내란이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2시간짜리 내란 말입니까?” 하는 카톡이 날아왔다. 그 후에 이어지는 내용이 “가난한 한국을 후손들에게 물려주지 않으려면 진보와 작별해야 하고, 부자 감세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허구이며, 계엄은 우리 모두의 잘못”이라는 것이다.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던 이의 현실 인식이라고 하기엔 믿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는 언제나 보수가 견인했고, 현 정권의 종합부동산세 감세는 실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 경제가 지금의 위치에 오르는 데에는 진보와 보수 가리지 않고 온 국민이 노력해서 이룬 성과다. 연금 생활자인 나의 건강보험료가 1년 만에 50% 넘게 인상된 이유를 정부는 아직도 내게 설명하지 않고 있다.
더욱이 12·3 비상계엄 선포는 내남없이 위헌-위법한 범죄행위라는 사실은 삼척동자도 알고 있다. 왜 그런 비상식적인 내란 행위가 우리 모두의 책임이란 말인가?! 우리 국민 대다수는 범죄와 무관하고, 법 없이도 살아가며, 평화를 사랑하고, 이웃을 존중하며 살고 있다. 군대와 경찰을 동원해 국회와 선관위, 민간 유튜브 방송을 무력으로 침탈하는데 찬성하지 않는다.
중대 사태가 터지면 나오는 말이 객관과 중립이다. ‘객관’의 사전적 의미는 “개인의 생각이나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사물을 보거나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현실 세계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고유한 판단기준과 호오(好惡), 선악의 기준이 있다. 까닭 없이 미운 놈도 있지만, 이유 없이 고운 사람도 있는 법이다.
주관과 객관은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상호 침투하면서 자리를 잡아나가는 것이다. 순수객관이나 완전한 주관은 인간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적잖은 사람들, 특히 지식인이라 자처하는 이들은 “객관적으로 볼 때”라는 말을 숨 쉬듯 편하게 말한다. 그것은 자기의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견해를 그럴듯하게 포장하는 잔재주에 지나지 않는다.
객관의 탈을 쓴 자들이 주장하는 또 다른 가치는 중립이다. ‘중립’의 의미는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중간적인 입장을 지키는 것”이다. 중립을 내세우는 자들은 진실과 거짓도, 아름다움과 추악함도, 정의와 불의도 문제 삼지 않는다. 그들의 유일 가치는 가족주의다.
알리기에리 단테는 도덕적 위기의 순간에 중립을 지킨 자들에게는 지옥의 가장 뜨거운 공간이 마련돼 있다고 일갈했다. 사회·정치적 위기 국면에서 객관과 중립을 주장하는 자는 가진 자들 편에서 다수의 판단을 호도한다. 인간 세상에는 중립도 객관도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 역사와 후예에게 당당하고 아름다운 미래를 물려주려면 중립과 객관의 허울을 던져 버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