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통상 리스크’ 관련업체 설문<br/>법인세 등 세제지원 확대도 요구
경북지역 제조업체들은 올해 경영환경이 지난해보다 더 악화 됐으며, 가장 시급한 정부의 지원정책으로는 환율 안정 노력을 꼽았다.
이 같은 사실은 구미상공회의소 산하 경북 FTA 통상진흥센터가 지난 2월19일부터 2월28일까지 지역내 대기업 10개사, 중견기업 14개사, 중소기업 215개사 등 239개사를 대상으로 ‘2025년 경북지역 통상 리스크 관련 영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나타났다. 설문조사 내용은 경영환경, 통상 리스크, 대미통상환경 영향, 정부 대책 등이었다.
불확실한 통상환경에 대비한 정부의 노력을 묻는 질문에는 환율안정(20.5%), 법인세 등 세제지원 확대(15.5%), 신규시장 개척지원 확대(13.4%) 순의 의견이 나왔다.
업체가 예상하는 경영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대외 리스크로는 ‘급격환 환율 변동(25.3%)’과 ‘세계경제 둔화(19.2%)’가 가장 많았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등장으로 인한 업체들의 주요 통상 리스크로는 대부분이 ‘보편 또는 상호관세 부과’를 지적했다. 업체들은 관세 부과 시 수출 경쟁력 약화로 인한 매출 감소(48.2%)를 크게 우려했다.
보편·상호 관세부과 외에 무역법 기반 규제 확대, FTA 재협상 등 미국의 불확실한 통상정책에 대한 업체들의 대처방법은 ‘원가절감(32%)’이 가장 큰 고려대상이었다. 이 외에도 대체시장 발굴, 기존 시장 집중, 공급망 점검 및 재편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미국 현지생산을 고려하는 업체는 아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경영환경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소폭 악화 될 것’이라는 응답이 45%로 우세했다. ‘전년과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전망한 업체는 39.7%로 그 뒤를 이었다.
구미상공회의소 윤재호 회장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협회·단체 등이 통상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기업의 수요에 맞는 맞춤형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류승완기자 ryus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