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5000명선 붕괴 앞두고 특단<br/>UN 통해 4인 10가족 정착 추진<br/>소멸 위기 대책 ‘성사 여부’ 관심
인구 1만5000명 선 붕괴를 눈앞에 둔 영양군이 소멸위기 극복을 위해 미얀마 난민을 유치할 계획이어서 성사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영양군은 12일 유엔 난민기구를 통해 가족 구성원이 4인 이상인 미얀마 난민 10가족, 40여명을 대상으로 난민 재정착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 난민기구(UNHCR)와 협력해 난민에게 안정적인 정착 환경을 제공하고, 인구 유입을 통해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목적이다.
영양군은 현재 유엔 보호를 받는 이들 난민들이 영양군에 정착할 수 있는지, 지원 규모와 정착촌 조성 위치 등 구체적인 내용 등을 법무부와 협의 중에 있다.
미얀마는 2021년 군부 쿠데타 이후 정치적 불안과 내전이 장기화하면서 수백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난민 대다수는 태국·방글라데시 등 인근 국가 난민 캠프에 머물며 교육·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데다 극심한 생활고까지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영양군은 난민 가정을 위해 주거·교육·일자리 등 정착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농업 중심의 지역 특성을 반영해 난민 가정에 일자리를 제공하고 농업 위주의 자립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르면 올해 안에 성과가 있을 것으로 영양군은 기대하고 있다.
영양군은 과거에도 북한 이탈주민을 위한 정착촌을 만들어 인구를 늘리는 정책을 추진했다. 2019년 영양군 수비면 오기리에 사업비 850억원을 들여 고랭지 농경지를 비롯해 스마트팜·임대주택·영농상담소·농기계보관소·보건진료소 등을 갖춘 북한 이탈주민 정착촌을 지을 계획이었지만, 사업비 확보 문제 등으로 이뤄지지 못했다.
영양군은 섬 지자체(울릉군)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이다. 지난 2006년 1월 말 인구가 1만9989명으로 2만명선이 붕괴됐다. 그로부터 19년이 흐른 올해 2월 말 현재 영양군 인구는 1만5271명이다.
최근 들어 평균적으로 매달 30명 안팎 인구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면 올해 연말이나 늦어도 내년 초에는 1만5000명선이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20년 만에 인구의 4분의 1이 줄어드는 셈이다.
그간 군청 공무원들은 자기 가족은 물론 친척, 친지들까지 주소를 영양군으로 옮기도록 권유하는가 하면 최대 1억원이 넘는 출산 지원금을 내거는 등 총력전을 펼쳤다.
하지만 20년 전 매년 100명이 태어나고 200명이 사망하던 것이 지금은 매년 출생아는 25명에 불과하고 사망자는 300명에 이르면서 인구 감소세는 더 빨라졌다.
심각한 지방소멸 위기에 내몰린 영양군은 출산장려금이나 결혼지원금도 대폭 늘려 인구 유입을 유도하고 있다.
당초 부부 한 쌍당 300만원을 지원했던 ‘결혼비용 지원사업’은 올해부터 부부 각각 300만원씩 지원해 총 600만원을 지원하고 ‘청년부부만들기 사업’ 또한 1회 500만원에서 3년간 총 1500만원까지 3배 늘렸다.
출산장려금도 2배로 확대해 지급한다. 첫째 자녀에게 3년간 월 10만원에서 20만원, 둘째에게 3년간 월 15만원에서 30만원, 셋째에게 5년간 월 20만원에서 40만원으로 확대 지원한다.
오도창 군수는 “난민 유치 등 인구 감소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면 뭐든지 강구하고 있다”며 “지역이 소멸하지 않도록 좀 더 실질적이고 피부에 와 닿는 확실한 해결책을 찾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장유수기자 jang777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