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인력난 해소, 특화작목 고급화 및 대체 작물 도입 등 추진
안동시가 기후변화와 고령화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과 젊은 농업인 지역 정착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등 농민이 우대받는 미래지향 농업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안동시는 올해 1369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농업 분야 인력 부족 문제 해결 △특화작목 고급화 △대체 작물 도입 등 각종 지원 정책을 통해 농촌 경제 활성화에 나선다.
내국인 인력지원을 강화하고, 외국인 계절근로 사업도 770명에서 1000여 명으로 늘린다. 공공형 계절근로센터는 2개소에서 5개소로 늘이는 등 농촌인력중개센터 운영을 활성화한다.
또한, 남후농공단지 내에 농기계 임대사업소 남부분소를 설치하고, 임대사업소 불용농기계를 농업인에게 매각할 수 있도록 한다.
고령화 극복을 위한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해 후계농업인 및 청년농업인육성사업을 시행, 선발된 농업인에게 월 최대 110만 원의 생활안정자금과 최대 5억 원의 융자를 지원한다.
특히, 초기 소득이 불안정한 청년 농업인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생활안정자금, 농지임대료, 농업계고 졸업생 창업비용 등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작물 재해보험 자부담을 10%에서 9%로 낮춰 농가의 부담을 줄이고 농기계 종합보험과 농업인 안전보험의 자부담도 50%에서 30%로 낮춰 농가의 경영안정을 돕는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표 특화작목의 품질 고급화 및 대체 작물 도입을 추진하고 농작물 보호를 위한 방제 체계도 확립한다. 안동시는 국내 육성 신품종 ‘감로’ 사과를 안동의 지역특화품종으로 육성하고자 특화단지 조성(8개소 3㏊)과 묘목 보급(5개소 1㏊) 사업을 추진한다. 기후변화 대응 대체 작물 시범 재배와 신소득 약용작물 발굴에도 나선다.
이상기상에 따른 농작물 병해충을 방지하고자 벼와 밭작물(콩, 마늘, 양파, 생강)에 대한 공동방제를 실시한다. 토양 정밀검정을 통해 작물별 합리적인 시비 처방으로 화학비료 사용 감축 등 지속 가능한 농업기반도 구축할 계획이다.
권기창 시장은 “기후변화와 고령화로 인한 농업 위기는 다가온 현실이지만 우리는 이를 극복할 힘과 지혜를 가지고 있다”며 “농업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젊은 농업인을 지원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지금의 위기가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도록 미래지향 농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전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