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지역 작년 출생아 1만300명… 9년 만에 반등

김보규 수습기자
등록일 2025-03-03 20:17 게재일 2025-03-04 5면
스크랩버튼
포항 2200명으로 가장 많아<br/>합계출산율도 0.86→ 0.90명

경북 지역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이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하면서 반등에 성공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4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경북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는 1만300여 명으로 전년 1만200여 명 대비 100여 명 증가했다. 2023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던 출생아 수가 9년 만에 증가로 전환 된 것이다.

시군 별 출생아 수를 보면 포항시가 2200여 명(북구 1300여 명, 남구 900여 명)으로 가장 많았고 구미시 2000여 명, 경산시 1200여 명, 경주시 900여 명으로 뒤를 이었다.

가임여성 1인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합계출산율도 상승했다. 경북은 0.90명으로 전년 0.86명 대비 0.04명 증가했고 포항은 0.94명으로 전년 0.85명 대비 0.09명 늘었다.

또한 청송군이 1.34명(출생아 수 약 100여 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영천시 1.25명(출생아 수 약 500여 명), 성주군 1.16명(출생아 수 약 100여 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출생아 수 증가에는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먼저 혼인 건수 증가를 신생아 수가 늘어난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미뤄왔던 혼인은 2022년 8월부터 상승 추세를 그려왔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22만2422건으로 전년 대비 14.9% 증가했다. 혼인 증가율 기준으로는 1970년 연간 통계를 작성 이래 가장 높다.

다음으로 인구수가 많은 1990년대 초·중반 출생아들이 결혼과 출산을 맞이하는 30대 초반이 된 것도 출산율 증가의 원인으로 꼽힌다.

박현정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30대 초반 여성 인구가 늘어나고 결혼과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나타나면서 출산율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 인구는 9년 연속 자연 감소를 기록했다. 지난해 사망자는 2만5300여 명으로 출생아 1만300여 명보다 많았다. 이에 따라 인구 자연증가율은 마이너스 1만4900여 명으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김보규 수습기자 kbogyu84@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