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상속세 등 세제 개편과 관련한 토론을 둘러싸고 연일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전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공개 토론을 제안하자 국민의힘이 무제한 토론을 벌이자며 역으로 제안하는 등 토론 방식 등으로 줄다리기를 하는 모양새다.
앞서 이 대표는 전날 국민의힘을 향해 “아직도 초부자 감세에 미련이 있나”라며 “뒤에서 거짓말하지 말고 정말 떳떳하고 당당하다면 공개토론하자”면서 토론을 주장한 바 있다.
이에 국민의힘 김대식 원내수석대변인은 24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가 권 원내대표와 토론을 요구하고 있다”며 “1대1로 무제한 토론하는 것에 동의하고 찬성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는 “형식은 자유고, 주제도 자유”라며 “상속세뿐 아니라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면에 현안에 대해서 ‘끝장 토론’을 할 것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특히 ‘극우내란당’처럼 막말과 모욕적이고 적대시하는 언어를 빼고 한다면 우리는 기꺼이 응할 수 있다”고 했다.
이처럼 국민의힘이 다시 ‘무제한 토론’ 형식의 역제안을 하자 이 대표는 기자들을 만나 “(권 원내대표가 토론에 참여하면) 우리도 원내대표가 나가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내가 나가면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뭐가 되겠나”라고 했다. 이어 “당 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을 포함해 3대 3으로 토론을 하자. 최대한 빨리 토론하자”고 재차 제안했다.
이 대표의 제안을 전해들은 권 원내대표는 기자들에게 “저에게 공개토론을 제안해 이를 수락했더니, 갑자기 말을 바꿔 ‘급이 맞지 않는다’며 3대 3 토론을 제안하며 또 도망을 가고 있다”며 “정말 어처구니가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권 원내대표는 “지금이라도 다시 이 대표에게 제안한다”며 “주제를 가리지 말고 1대1로 무제한 토론을 하자”고 강조했다.
한편, 여야가 이처럼 세제 개편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가 필요하다는 데에는 공감하면서도, 토론 방식 등에 대해 서로 한치의 양보의 기미가 없음에 따라 실제 토론이 성사될지는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