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독도 강탈 불법성과 죽도의 날 제정이 지닌 역사적인 허구성 규명

한상갑기자
등록일 2025-02-21 09:06 게재일 2025-02-24
스크랩버튼
영남대에서 일본 ‘죽도(竹島)의 날’ 비판 관련 학술대회
영남대 일본 ‘죽도(竹島)의 날’ 학술대회 팸플릿. /영남대독도연구소 제공
영남대 일본 ‘죽도(竹島)의 날’ 학술대회 팸플릿. /영남대독도연구소 제공

‘죽도의 날’(22일)을 맞아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소장 최재목 교수)는 ‘1905년 독도 편입의 불법성에 관한 학제간 연구’ 주제로 26일 학술대회를 연다.

영남대 법학도서관 영상회의실에서 개최되는 학술대회에서는 △박지영 교수(영남대 독도연구소)가 ‘일본의 독도 편입 과정에 관한 역사적 고찰’ △오시진 교수(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가 ‘식민지주의와 선점 권원의 국제법 법리 검토’ △최지현 교수(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가 ‘1905년 시마네현 고시에 관한 비판론 재검토’ △홍성근 박사(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가 ‘일본의 독도 영토편입 조치의 법적 성격에 대한 고찰’ 주제로 발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1905년 2월 22일 일본의 독도 강탈의 불법성과 죽도의 날 제정이 지닌 역사적인 허구성을 규명하고 일본 측의 사실 왜곡의 실상을 알리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일본은 ‘죽도의 날’ 제정을 계기로 독도 도발 수위를 높이고 계획적으로 독도 강탈 야욕을 구체화 하고 있다.

일본 외무성에서는 2008년 2월에 ‘죽도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10의 포인트’(한·영·일 2개국어)란 팸플릿을 게재했고, 2014년 3월부터는 이를 12개 외국어로 확대해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또, 문부과학성에서는 2024년부터 초·중·고등학교 사회교과서에 명시적으로 “죽도(독도)는 일본 고유의 영토, 현재 한국이 불법점거 하고 있다”는 왜곡된 내용을 일본의 모든 교육 현장에서 의무화하고 있다.

최재목 독도연구소장은 “일본의 독도 왜곡교육은 동아시아의 협력을 함께 이끌어갈 미래세대들에게 역사적 고통을 떠넘기는 것”이라며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일본이 독도 도발의 중요한 근거로 삼는 1905년 독도 편입 조치에 대해 그 불법성과 허구성이 드러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상갑기자 arira6@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