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날처럼 화사하고 따사로운 햇살이 내리비친다고 좋아했더니, 어느 사품엔가 구름장이 몰려와 습기를 머금은 무거운 눈발이 거세게 날린다. 지구 곳곳을 급습하는 자연의 엄혹한 섭리에 놀라는 나날이 이어진다. 벌써 두 달이 넘도록 청도 화양읍에는 영상의 아침을 맞은 기억이 내게는 없다. 난잡한 시절과 냉혹한 절후(節候)로 인한 한숨과 스산함이 이어지고 있다.
어린 시절 어머니의 잦은 심부름 다닌 기억이 떠오른다. 추운 날이 이어지는 즈음이면 저녁 찬거리 때문에 한숨 쉬던 어머니 모습이 생생하게 살아난다. “벌써 끼니때가 닥쳤구나. 아침 먹고 돌아서면 점심이고, 점심 먹었나 했더니 저녁이구나.” 이런 말과 함께 얇은 지갑을 살피다가 두부 두 모와 덴뿌라 (어묵) 두 장 사 오너라, 하시곤 했다.
우리 살림은 아버지의 근면한 노동에도 4남매 학비와 생활비로 늘 빠듯하다 못해 곤궁을 면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어린 시절 자주 먹었던 것이 두부와 파, 마늘 그리고 어묵을 진한 고추장에 풀어 끓인 국이었다. 연탄 한 장으로 겨울밤을 나야 했기로 그나마 뱃속을 뜨거운 국물로 채워야 했던 게다. 지나간 그 세월을 반추할라치면 더러 깊은 한숨이 토해진다.
언젠가 ‘가난’을 소재로 이야기를 나누다가 어머니가 “넌 가난이 지겹지도 않은 거냐” 하고 묻길래, 그냥 그래요, 하고 대답했다. 정말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으로 어머니는 고개를 살래살래 젓고 있었다. 빈곤과 추위와 무더위의 깊고 어두운 기나긴 질곡(桎梏)을 건너온 시련과 아픔의 시절을 어머니는 끔찍하게 여겼지만, 난 그 시절을 심드렁하게 떠올리곤 한다.
4남매를 키워야 했던 안주인의 쓰라린 심사와 철모르던 소년의 치기 어린 당당함이 어떻게 양립할 수 있을까?! 어쨌거나 나는 남루하고 배고팠던 추억을 어디서나 숨긴 적 없고, 그것이 이후의 삶에서 귀중한 자양분이 되었다고 여긴다. 나이 들어서도 물적인 빈곤을 부끄럽게 여긴 적도 별로 없고, 가난으로 생겨난 난감함을 경험한 적도 기억에 별로 없다.
그래선지 물질과 권력과 부를 향한 욕망을 강렬하게 작동시킨 일도 나는 없다. 내게 허여(許與)된 것에 만족하고, 나보다 못한 사람들에게 아주 조금이나마 베풀고 살아온 인생살이였다. 요즘 다시 책장을 넘기고 있는 ‘도덕경’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만족할 줄 모르는 것보다 더 큰 화(禍)는 없고, 얻고자 하는 것보다 더 큰 허물은 없다.” (46장)
‘도덕경’ 곳곳에서 노자는 만족할 줄 알라고 가르친다. 물질 만능과 승자독식이 지배하는 21세기 20년대 참혹한 한국 사회에서 족함을 느끼면서 살아가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생각한다. 각자에게 주어진 만큼의 족함에 만족할 줄 안다면, 우리는 불행하지 않을 것이다. 송어 수준의 만족과 고래 수준의 만족이 자연스레 공존하는 그런 사회는 불가능한가?!
만족을 모르는 욕망의 비루한 노예가 초래한 비상계엄과 처참한 궤변, 극우 정치인들의 위헌적인 행악질에 시민들이 경악해야 하는 참람(僭濫)한 시절이다. 소박하지만 남 탓하지 않는 맑고 깨끗한 족함을 아는 사람들이 ‘기적의 나라’ 대한민국에 날로 많아지면 정말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