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의, 별사’<br/><br/>정길연 지음·파람북 펴냄·소설
조선시대 후기 실학자이자 ‘열하일기’와 ‘허생전’의 저자로 유명한 연암 박지원(1737∼1805)의 마지막 생애와 그의 사랑 이야기를 다룬 역사소설 ‘안의, 별사’(파람북)가 출간됐다.
이 소설은 ‘안의에서 이별하는 이야기’라는 뜻으로, 연암이 1792년부터 4년 2개월 동안 안의현(현재의 경남 함양군 안의면) 현감을 지냈던 시기를 배경으로, 가상의 여성 이은용과의 만남과 이별을 그린다. 연암은 아내와 사별한 후였고, 이은용은 결혼한 지 2년 만에 남편과 사별해 수절하는 여성으로 그려진다. 작품은 두 주인공이 번갈아 화자가 돼 이야기를 서술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소설은 조선시대라는 시대적 배경에 맞게 두 사람의 관계나 애정을 자극적으로 그리지 않는다. 대신, 서로를 향한 애틋한 마음만 간직한 채 이별하는 모습을 담담하게 그려내며, 제목 ‘별사’(헤어지는 이야기)의 의미를 잘 살린다.
저자인 정길연 작가는 연암이 쓴 글과 연암에 대한 연구서들을 찾아 읽다가 소설을 구상했으며, 8년 만에 집필을 끝냈다고 밝혔다. 그는 ‘작가의 말’에서 “연암에 대한 일종의 연모의 정으로부터 시작되고 마무리된 작품”이라며 “위대한 문사에 대한 거대한 사심으로 올곧게 집요하지만, 플롯을 쌓아 올리면서는 치밀한 문헌 고증으로 객관성을 놓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 소설은 연암의 혁신과 애민 정신, 절제와 수양의 자세를 치밀한 문헌 고증을 통해 객관적으로 묘사하면서도, 그의 인간적인 면모와 철학적인 고민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 특히, 불의하고 무도한 시대에 맞서는 그의 도저하고 돌올한 정신이 오늘날 우리에게도 큰 울림을 준다.
“땅덩어리가 참말 둥글다면 이 강물도 공처럼 굴러 굴러 한곳에 가 모이지 않을까요. 엉터리없는 말인 줄 알지만, 그렇게 믿으면 그런 것이지요. 음양의 인연만 인연이겠는지요. (중략) 저 글씨들처럼 이전의 저를 지우려 합니다. 비웠으니, 비었으니, 다시금 새로이 채우며 살아갈 수 있지 않겠는지요. 그리하려고요. 모쪼록 그리하려고요.”(559쪽)
연암이 말년에 안의현에 부임했다는 사실은 그의 대표작들에 비하면 덜 알려져 있다. 연암의 비분강개함과 우울증 역시 그의 골계와 정신에 비하면 덜 알려진 개성이다. 조선 후기 사회의 한계에 대한 연암의 절망감을 차분히 파헤치면서도, 그가 남긴 안의현에서의 선정을 빠짐없이 디테일하게 조명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