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첼리스트 박유신, 앨범 ‘겨울나그네’ 발매기념 리사이틀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4-12-10 18:34 게재일 2024-12-11 14면
스크랩버튼
11일 포항·13일 서울·18일 인천서 공연<br/>슈베르트 연가곡 풍부한 음색으로 구현

“성문 앞 우물가에/서 있는 보리수/나는 그 그늘에서/수많은 달콤한 꿈을 꾸었네./그대의 단단한 껍질 위에/수많은 사랑의 말을 새기고/기쁠 때나 슬플 때나/나는 항상 그를 찾았네/오늘도 그곳을 지나가야 했네….”- 슈베르트 연가곡 ‘겨울나그네’ 중 ‘보리수’

국내외 무대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치며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포항 출신의 첼리스트 박유신이 독일 낭만주의 음악의 거장 슈베르트의 연가곡 ‘겨울 나그네’를 담은 세 번째 정규 앨범 ‘겨울 나그네(Winterreise)’를 지난 4일 발매했다.

박유신은 첫 정식음반 ‘시인의 사랑(Dichterliebe)’과 두 번째 정식음반 ‘백야(White Night)’에서 국내 최초 첼로로 녹음 및 연주되는 작품들을 발굴하고 첼로 레퍼토리의 스펙트럼을 넓혀 왔다. 이번 음반 역시 마찬가지로, 소속사 목프로덕션은 한국에서 첼로로 연주한 ‘겨울나그네’ 음반이 메이저 레이블로 발매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박유신은 “첼리스트가 기존의 첼로 레퍼토리를 잘 연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좀 더 의미 있는 ‘나만의 작업’을 해보고 싶어서 슈베르트의 가곡을 연주했다”고 음반 발매 취지를 밝혔다.

박유신이 연가곡 걸작을 첼로로 연주해 음반으로 내놓기는 첫 번째 정식음반 ‘시인의 사랑’ 이후 두 번째다. 박유신은 슈베르트가 빌헬름 뮐러의 시를 음악으로 풀어낸 ‘겨울나그네’ 24곡 전곡을 수록했다. ‘겨울나그네’는 요절한 슈베르트가 죽기 1년 전에 작곡한 작품으로, 삶의 마지막에서 느낀 사랑과 고독, 삶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사색을 표현했다. 낭만주의의 대표적인 걸작으로 평가받는 이 작품은 나그네의 감정과 사유의 변화를 섬세하게 그려내며, 세상에서 버림받은 나그네의 정처 없는 방랑의 여정을 함께 걷게 한다. 박유신은 이 작품 속 미묘한 감정의 결을 첼로의 따뜻하고 풍부한 음색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고 밝혔다.

독일 뤼벡 국립음악대학의 교수이자 리트(독일 가곡) 전문 피아니스트로도 정평이 난 플로리안 울리히가 2022년 박유신의 첫 데뷔 앨범 ‘Dichterliebe’에 이어 다시 한번 호흡을 맞췄다. 음반은 지난해 11월 11~13일 통영국제음악당에서 녹음됐다.

박유신은 음반 발매를 기념해 전국 4개 도시에서 공연을 한다. 8일 통영국제음악당에서 공연을 마쳤고, 11일 포항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13일 서울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18일 인천동구문화체육센터에서 공연한다.

박유신은 2017년 드레스덴 국립음대 실내악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이후 2018년 레오시 야나체크 국제 콩쿠르와 안톤 루빈슈타인 국제 콩쿠르에서 각각 2위를 차지하며 세계적인 첼리스트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또한, 2015년 브람스 국제 콩쿠르에서는 2위와 더불어 특별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박유신은 다양한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국내 클래식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남서독 필하모닉, 에어츠게비어기셰 필하모니아우에, 러시아 국립발레단 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등 국내외 유명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자신의 음악적 역량을 널리 알렸다.

또한, 2022년에는 데뷔 음반 ‘Dichterliebe’가 슈만의 ‘시인의 사랑’을 국내 최초로 첼로로 녹음하고 연주해 큰 화제를 모았다. 같은 해 발매된 두 번째 음반 ‘White Night’에서는 미야스코프스키 ‘첼로 소나타 1번’, 라흐마니노프 ‘두 개의 소품’을 역시 국내 최초로 첼로로 녹음해 국내 클래식 음악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박유신은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아카데미 소속으로 활동하며 세계적인 지휘자들과 함께 작업하며 경험을 쌓았으며, 현재는 어텀실내악페스티벌과 포항국제음악제의 예술감독으로 활약하며 국내 클래식 음악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한양대, 경희대, 이화여대에서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