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리뷰 ‘예술통신사 : 시대를 진단하는 예술 담론 #럭키비키’전<br/> 긍정적 사고의 부상과 한계서 대안적 사고에 이르기까지<br/> 작가 8인, 청년들이 살아가는 현실 5개 섹션 나눠 이야기<br/>“외면 아닌 창의적 해결책 모색하는 미래의 가능성 전달”
‘럭키비키(Lucky Vicky)’라는 신조어가 요즘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다. 이들은 이 단어를 읇조리며 자신을 응원한다고 한다. 이 표현은 걸그룹 ‘아이브(IVE)’ 멤버 장원영이 ‘행운’을 뜻하는 럭키(lucky)와 자신의 영어 이름인 비키(vicky)를 합쳐 사용했다. 맞닥뜨린 현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마음가짐 등을 비유하는 유행어로 온라인상에 퍼졌다.
영천 시안미술관(관장 변숙희)이 지난달 29일부터 오는 31일까지 특별 기획전으로 진행하고 있는 ‘예술통신사 : 시대를 진단하는 예술 담론 #럭키비키’전에서 만난 작품들도 그랬다.
이번 전시에 참여하고 있는 김서울, 박두리, 윤보경, 윤윤재, 이양헌, 이현우, 임장순, 허태민 총 8인의 작가들은 ‘럭키비키(Lucky Vicky)’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현대인의 주체성을 상실하게 만드는 구조적 문제, 그에 대한 반응, 긍정적 사고의 부상과 한계, 그리고 대안적 사고에 이르기까지 청년 세대가 살아가는 현실을 5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다각도로 조명한다.
△섹션 1 상실의 시대 - #변신 / 프란츠 카프카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에서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Gregor Samsa)는 어느 날 벌레로 변해버린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며, 인간적 가치와 정체성을 박탈당한다. 주인공의 변신은 단순한 신체적 변화가 아닌, 자본주의 사회가 만들어낸 소외와 비인간적 모습을 서술한다.
△섹션 2 도피로부터 찾은 단서 - #데미안 / 헤르만 헤세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에서 주인공 싱클레어는 사회적 규범과 도덕적 질서에 갇혀 살아가던 중, 데미안이라는 신비로운 인물의 영향을 받아 주체성을 상실한 개인이 내면의 목소리를 찾기 위해 현실의 규범과 질서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길을 탐구하는 과정을 그린다.
△섹션 3 판단을 위한 해석 - #햄릿 / 윌리엄 셰익스피어
셰익스피어의 ‘햄릿’은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이라는 문장을 통해 존재와 선택의 갈림길에 선 인간의 내적 갈등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햄릿의 고민은 단순히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이 마주한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다. 햄릿의 독백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유효하다.
△섹션 4 환상이라는 그림자, 현상이라는 빛 - #돈키호테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는 현실을 부정하고 이상적인 세계를 꿈꾸는 한 남자를 통해 긍정적 사고가 현실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갈등을 이야기한다. 돈키호테의 순수하고 긍정적 태도, 즉 이상은 냉혹한 현실에 의해 비참한 결과로 이어진다.
△섹션 5 남겨진 질문 - #고도를 기다리며 / 사무엘 베케트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는 불확실성과 무의미한 상황 속에서도 끝까지 삶의 의미를 탐구하려는 질문을 던진다. 주인공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는 ‘고도’라는 미지의 존재를 기다리지만, 끝내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는다. 두 사람은 주변의 풍경이 변화하더라도 희망을 잃지 않으려는 태도로 끊임없이 의미를 탐색하며 기다린다.
장원영으로부터 시작돼 대중적으로 확산된 ‘럭키비키’는 일상 속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구매하려고 했던 빵이 매진이 됐으나 그로 인해 새로 갓 구운 빵을 맛볼 수 있게 된 순간이라거나, 갑작스러운 비로 인해 계획이 취소됐지만, 휴식이라는 또 다른 기회를 얻게 되는 상황처럼 예상치 못한 사건에서 긍정적인 가능성을 발견하는 사고방식을 ‘럭키비키’라고 표현한다.
시안미술관 측은 “이번 전시는 긍정적 사고가 현실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미래의 가능성이라는 점을 전달하고자 한다”면서 “‘예술통신사-럭키비키’라는 전시 안에서 이 작품들이 어떻게 현대 사회를 진단하고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는지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운 접근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