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리뷰 포항시립교향악단 올해 마지막 정기연주회<br/>베토벤 마지막 교향곡 ‘9번 합창’<br/>차웅 지휘자, 66명의 단원만으로<br/>전 악장 연주 완벽한 무대 선보여<br/>강혜정·김경호 등 성악가 4인과<br/>포항시립합창단·경주시립합창단<br/>마지막 4악장 ‘환희의 송가’ 협연<br/>혼돈의 시대, 화합과 평화 메시지
155명의 오케스트라와 합창, 성악가 등이 베토벤 클래식 음악의 장엄하면서도 감동적인 역사적 걸작 공연으로 ‘대화합’의 메시지를 선사했다.
지난 5일, 포항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열린 포항시립교향악단의 2024년 송년음악회이자 제211회 정기연주회는 포항시향 예술감독 차웅 상임지휘자의 리드 아래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이 포항시립합창단, 경주시립합창단, 강혜정 이아경 김경호 강형규 등 정상급 성악가들의 협연으로 일찌감치 기대를 모았다.
클래식 음악의 거장인 작곡가 베토벤의 대작이 풍기는 짙은 향기를 상상하며 공연장을 찾은 시민들의 얼굴에는 들뜬 기대감이 역력했다. 음악이 가진 선한 영향력을 더 많은 청중에게 전하겠다는 포항시향의 이번 공연 목표처럼 공연장엔 어린아이부터 어르신, 외국인까지 다양한 관객들이 넘쳐났다.
2008년 이후 16년 만에 전악장으로 진행된 무대는 1시간 20여 분 동안 베토벤이 청각을 완전히 상실한 이후 작곡한 그의 생애 마지막 교향곡인 ‘9번 합창’이 차웅 상임지휘자의 뜨거운 연주로 펼쳐졌다.
‘교향곡 제9번 합창’은 기악의 전유물이었던 교향곡에 합창을 결합한 혁신적인 작품이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이 곡은 고난과 역경을 이겨내고 환희를 맞는 인류애의 메시지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 곡은 인류애와 화합의 메시지를 담고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행사에서 자주 연주돼 왔다. 특히 인간성에 대한 통찰과 공감을 바탕으로 한 이 작품은 위대한 예술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베토벤은 정신적 위기에서 벗어나 아홉 번째 교향곡에서 쉴러의 시 ‘환희의 송가(An die Freude)’를 가사로 선택해 자유와 화합, 인류애를 표현하며 고차원적 가치를 대중에게 호소했다.
자신에게 주어진 고난과 불행의 운명을 극복하고 빛을 향해 나아가는 베토벤의 인생관이 담긴 이 작품은 역경을 이겨내려는 의지 끝에 맞이한 인간 승리라는 베토벤의 자기 고백적 서사와 환희와 화합, 형제애라는 가치 추구의 메시지가 결합해 연주자와 감상자 모두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이번 공연에서도 이러한 메시지는 관객들에게 진한 감동과 여운을 전했다.
차웅 지휘자는 각 악장마다 섬세한 해석과 열정적인 지휘로 관객들을 매료시켰다. 특히, 제4악장에서는 ‘모든 인간은 한 형제’라는 환희의 송가를 통해 청중들에게 화합과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66명의 소편성 오케스트라임에도 불구하고, 포항시향은 폭발적인 에너지와 생동감 넘치는 리듬, 치밀한 다이내믹으로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제1악장의 신비스러운 도입부는 많은 흥미를 끌었다. 세계 최고의 지휘 경연으로 손꼽히는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국제 지휘콩쿠르에서 동양인 유일, 한국인 최초로 우승(1위 없는 2위)한 차웅 포항시향 상임지휘자는 1악장에서 태초의 혼돈과 우주의 생성으로 시작해 비탄으로 끝나는 해당 악장을 구조감을 중시하며 안정적으로 연주했다.
밝고 활기찬 팀파니의 옥타브 음정 연주 등 큰 소리로 연주하며 열광적인 무곡으로 2악장이 끝나고 사랑으로 넘치는 3악장 아다지오가 뒤따랐다. 차웅 지휘자는 느린 템포에서 서정성과 긴장감을 동시에 유지하도록 연주자들의 집중도를 최대한 요구하며 신의 숭고한 세계, 천국에서의 삶을 동경하면서 동시에 속세에서의 삶을 추억하는 듯한 풍부한 낭만적 표현력을 아낌없이 발휘했다.
마지막 4악장에 이르자 터키풍의 행진곡과 느리고 장중한 음악, 환희의 멜로디를 기반으로 한 변주, 소나타와 협주곡 형식 등이 합쳐지며, ‘모든 인간은 한 형제’라는 환희의 송가를 통해 청중들에게 모두 하나가 되는 느낌을 전했다.
포항시향은 소편성 오케스트라라는 사실이 믿기 어려울 만큼 폭발적인 에너지와 펄떡거리는 듯한 생동감 넘치는 리듬, 치밀한 다이나믹으로 청중들을 매료시키는 데 성공했다. ‘합창 교향곡’은 대개 오케스트라 단원을 100명 정도로 편성하지만, 포항시향은 66명의 단원만으로 4악장의 다이나믹을 최대한 완성했다. 리듬감, 탄력, 앙상블 세 박자가 모두 완벽했다. 정상급 솔리스트 소프라노 강혜정, 메조소프라노 이아경, 테너 김경호, 바리톤 강형규와 포항시립합창단, 경주시립합창단은 쉴러의 송가 ‘환희에 붙임’을 부르며 형재애와 인류의 화합, 평화를 노래하며 우리나라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듯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돌개바람 속에 온 나라가 갈라지고 흩어지고 있다. 포항에서 울려 퍼진 베토벤의 음악이 다시 한번 희망과 화합의 메시지가 되길 바란다. “친구여, 이 선율이 아니고, 더 편안하고 기분 좋은 그리고 기쁨에 넘치는 소리를 우리가 노래하자!”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