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61% “긴축경영 계획”<br/>2019년 조사 이후 최고치 기록<br/>10곳 중 8곳 “트럼프 도움 안돼”
우리나라 기업 절반가량이 내년 긴축 경영에 나설 계획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기업 10곳 중 8곳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당선이 우리 경제에 부정적이라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30인 이상 기업 239개 사 최고경영자 및 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에 따르면, 2025년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 중 49.7%는 내년 경영계획 기조를 ‘긴축경영’으로 정했다고 답했다. 특히 300인 이상 규모 기업에서는 긴축경영을 하겠다는 응답이 61%로 나타나 2019년 조사 이후 9년 만에 가장 많았다. ‘현상 유지’는 28.0%, ‘확대경영’은 22.3%로 집계됐다.
경영 기조를 ‘긴축경영’으로 응답한 300인 이상 규모 기업(61.0%)은 300인 미만 규모 기업(45.7%)보다 15.3%p 높았다.
내년 기조를 ‘긴축 경영’으로 응답한 기업의 구체적인 시행계획은 ‘전사적 원가절감’(66.7%)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인력운용 합리화’(52.6%), ‘신규투자 축소’(25.6%) 가 그 뒤를 이었다.
내년 투자 및 채용계획을 설문한 결과, 올해 대비 ‘투자 축소’ 응답이 39.5%로 가장 높았고, ‘올해 수준’ 35.0%, ‘투자 확대’ 25.5% 등으로 나타났다.
내년 채용 계획은 ‘올해 수준’이라는 응답이 44.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채용 축소’ 36.9%, ‘채용 확대’ 18.4% 순으로 집계됐다.
경총은 긴축경영 기조, 투자 축소, 채용축소 모두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최근 어려운 경제환경에 대해 대기업이 매우 엄중하게 판단하고 있음을 반영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내년 기업 경영상 주된 애로요인으로는 ‘내수 부진’(66.9%)과 ‘인건비 부담 가중’(64.0%)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다음으로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 성장세 둔화’(19.7%),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16.3%) 순으로 나타났다.
내년 1월 출범할 트럼프 정부의 정책이 우리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묻는 설문에서는 응답기업의 82.0%가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전반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답했다. ‘대중(對中) 견제에 따른 반사이익, 한·미 협력 강화 등으로 우리 경제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란 응답은 7.5%에 그쳤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내수부진, 높은 인건비 부담과 함께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대외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기업, 특히 대기업들의 ‘긴축경영’ 기조가 크게 높아졌다”며 “내년도 경기상황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업이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유인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일률적 정년 연장같이 노동시장 현실을 간과하고 기업에만 과도한 부담을 부과하는 정책이나, 글로벌 스탠다드를 넘어서는 과도한 지배구조 규제 같은 기업 활동을 위축시키는 정책은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정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