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사 회주 종상 대종사 입적<br/>법랍 60년…조계종 원로회의장<br/>내일 불국사서 영결·다비식 엄수
대한불교 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 회주이자 조계종 원로의원 종상 대종사가 원적에 들었다.
종상 대종사는 지난 8일 오전 1시 2분 불국사에서 법랍 60년, 세수 76세로 입적했다.
1948년 전북 임실군에서 출생한 종상 대종사는 1965년 법주사에서 월산 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수지했으며, 1973년 석암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받았다.
조계종 중앙종회의원, 석굴암 주지, 청계사 주지, 불국사 주지, 불교방송 이사, 동국대 이사 등을 지냈다. 금강산 신계사 복원추진위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불국사복지재단·성림문화유산재단 등을 맡아 교육, 남북관계 개선, 문화 관련 소임에도 열중했다. 2020년 11월 조계종이 비구에게 주는 가장 높은 법계(法階)인 대종사(大宗師)에 올랐으며 2022년 조계종 원로의원으로 선출됐다. 열반 직전까지 불국사 회주와 대한불교조계종 원로의원, 분당 석가사 주지, 불교텔레비전BTN 명예이사로서 활동하며 불국사 교구 및 종단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종상 대종사는 ‘미움도 싫어함도 깨끗이 씻어 버리니 헐뜯고 칭찬함이 어디에 붙겠는가. 초연히 생사를 해탈하니 금까마귀 하늘 뚫고 날아가네’라는 뜻을 담은 “혐시탕척 훼예하류 초연탈생사 금오철천비”(嫌猜蕩滌 毁譽何留 超然脫生死 金烏徹天飛)를 열반송으로 남겼다.
열반송은 승려가 입적에 앞서 수행을 통해 얻은 깨달음을 후인들에게 전하기 위해 남기는 말이나 글을 의미한다.
장례는 조계종 원로회의장으로 치르며 영결식과 다비식은 오는 12일 불국사에서 엄수된다. /황성호·윤희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