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천장관절의 구조와 허리통증

등록일 2024-10-23 19:26 게재일 2024-10-24 18면
스크랩버튼
박용호 포항참사랑송광한의원장
박용호 포항참사랑송광한의원장

천장관절은 천골과 장골이 닿는 부분으로 우리가 흔히 골반이 아프다고 표현을 하면 천장관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위치상으로 봐도 허리뼈 5번 부근이라서 통증이 심한 경우는 디스크로 오인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물론 디스크가 원인인 경우일 수도 있으나 MRI상 디스크가 조금 보인다고 전부 디스크 원인성 요통은 아니다. 영상장비의 발달이 일부 환자에겐 오히려 독이 되는 케이스로 허리 통증의 원인은 다각도로 판단하여 치료를 하는 것이 환자에게 좀 더 유리하다.

허리와 골반은 엄청나게 많은 인대들과 뼈가 얼기설기 엮여 있고 허리뼈에서부터 나온 신경이 다양하게 분지하면서 이곳저곳을 지나간다. 그곳을 다시 근육이 덮는데 이런 복잡한 구조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단지 영상 진단에서 약한 디스크진단이 나왔다고 모든 통증을 디스크 원인성으로 판단하기엔 많은 무리가 따른다.

최근 미국에선 허리통증의 30% 가량이 천장관절이 원인이라는 논문이 다량 발표 되고 있는 것만 봐도 허리 통증을 단순히 디스크가 원인이라고 보긴 쉽지 않다.

무리 몸을 뼈로만 봤을 때는 머리뼈와 이를 받쳐주는 목뼈 그리고 흉추를 지나 허리뼈와 천골로 오게 되고 말단인 허리뼈와 천골을 지지하는 구조가 흔히 골반이라고 한다. 허리뼈와 골반뼈를 붙여서 지지하는 곳이 허리뼈 밑의 천골과 장골이다, 천골과 장골은 두 뼈만으로는 절대 인체를 지지할 수 없는 구조다. 이 부분을 붙여 놓기 위해 인체는 아주 많은 인대들로 결합시켜 놓았고 이 천장관절의 인대로 인한 결합은 인체에서 가장 강력한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강한 천장관절의 인대 자체의 손상은 거의 없다고 보고 만약 손상이 생긴다면 치료도 어렵다고 본다.

실제로 천장관절의 인대는 직접적인 심한 타박으로 손상이 생기지 않으면 심한 손상은 없다고 보면 되지만 부분적으로 약한 손상은 항시 발생하고 이렇게 되면 허리를 지지하는 힘이 약해져 허리의 통증이 발생한다. 약해진 천장관절의 문제는 30대 이후엔 대부분 아픈 쪽의 장골이 후방 회전을 하게 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때 앉아 있는 자세는 장골을 후방회전 시키기 때문에 좋지 않은 자세가 된다.

치료는 천장관절인대 부분만이 아니라 그로 인해 틀어진 허리뼈와 신경뿌리가 나오는 곳 그리고 후관절의 협착이 있는 부위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한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허리와 골반의 구조는 아주 복잡하기 때문에 보자마자 원인을 알 수는 없지만 환자의 나이와 통증의 양상 등을 따져서 치료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치료를 하게 된다. 치료를 해 나가면서 마무리가 되지 않는 통증들은 그동안 하지 않았던 구조물을 치료를 하게 되면 대부분은 좋아진다.

천장관절을 튼튼히 하기 위해선 앉아 있을 때는 늘어져 있는 것이 아닌 정자세를 취해 주어야 하고 서 있을 때도 장골이 전방회전 될 수 있게 허리에 힘을 주고 척추를 세운 후 턱을 당긴다. 바른 자세로 걷는 연습을 하고 이게 힘들다 싶으면 관련 근육들을 강화하는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다.

한방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