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럼프가 찾아왔다. 나름 심혈을 기울여 쓴 작품이 원하던 결과를 가져오지 못한 것이 이유였다. 나는 좋게 말해 다소 개성 있는 시를 쓰는 시인이고, 다르게 말하면 조금 이상한 시를 쓰는 시인이다. 어떤 면에서는 구닥다리 같은 측면이 있다고 할 수도 있지만 나름 진정성 있는 작품을 쓰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일들이 몇 차례 반복되니 의기소침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답답한 마음에 지도교수이자 은사님이신 유성호 교수님께 전화를 걸었다. “선생님, 아무래도 지금 우리나라 시단이 원하는 방향이 제가 쓰고 있는 방향과 많이 달라진 것 같습니다.” “그럴 수 있지.” “다음 원고는 좀 다른 방향으로 써 보려고 합니다.” 나름 생각을 많이 하고 드렸던 말씀인데 선생님께서는 뜻밖의 말씀을 하셨다. “그러지 마쇼. 쓰던 대로 쓰면 돼.” 전화를 끊고서 그 말씀을 한참동안 머릿속에 가두어 두었다. 오랜 생각 끝에 나는 어렴풋하게 선생님께서 하신 말씀이 어떤 뜻인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지나가던 조씨’란 사내를 떠올리게 되었다. 그의 본명은 조현철. 나와 함께 ‘백수와 조씨’라는 2인조 밴드로 활동한 적 있었던 악기 연주자이다. 그는 여러모로 희한한 사람인데 언제나 가장 눈길을 끈 것 중에 하나는 그의 패션이었다. 그는 내가 기억하기로 이미 15년이 넘는 세월동안 검정 계열의 아웃도어 의류를 주구장창 입고 다녔다. 간혹 체크 남방 같은 것을 함께 입기도 했지만 언제나 그의 패션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는 등산복이었다. 나를 비롯해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패션을 비웃었는데, 최근 들어 뜻밖의 현상이 일어났다.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와 일상복을 믹스매치하는 고프코어(Gorpcore)룩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된 것이다. 고프코어룩의 선두주자라 하면 모델 겸 방송인 주우재 씨를 많이 떠올린다. 그러나 나는 확언할 수 있다. 주우재 씨가 있기 전에 조현철이 있었노라고. 그가 무심코 입던 스타일이 어쩌다 보니 유행과 맞아떨어지게 된 것이다.
그 다음으로 ‘현대 축구의 반역자’ 후안 로만 리켈메 선수가 떠올랐다. 그의 전성기였던 2000년대 중반은 전통적인 공격형 플레이메이커가 각광받는 시대가 아니었다. 다양한 선수가 공격을 조립하고 팀 전체가 유기적으로 전술을 수행하는 시대에서 리켈메는 여전히 전통적인 플레이메이커로 남았다. 모든 공격상황에서 공은 그를 거쳐야 했고, 공격의 템포는 빠르지 않았다. 대신 창조적이고 정확한 패스를 뿌릴 줄 알았고 때로는 직접 득점을 올리기도 했다. 현대 축구의 흐름에 역행했지만 그는 스스로 하나의 전술이 되어 수많은 경기를 승리로 이끌었고, 스페인 리그와 아르헨티나 리그의 전설로 남게 되었다. 한 매체는 그를 2000년대 최고의 미드필더 4위로 꼽았다.
선생님께서 내게 하신 말씀은 유행을 좇기보다는 뚝심 있게 내 영역을 개척하라는 말씀인 것 같다. 약간은 우스갯소리처럼 한 말이지만 지나가던 조씨라는 친구가 더 이상 옷차림으로 놀림받지 않게 된 것처럼, 그리고 리켈메가 결국 자신만의 축구로 역사를 이룬 것처럼 가던 길을 우직하게 가는 것이 결국 좋은 결과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가르침이셨을 것이다.
소위 주류라고 하는 스타일을 흉내 내는 것 정도는 나도 할 줄 안다. 그런데 정말 그런 스타일을 내면화하여 쓰는 사람보다 잘 쓸 자신은 없다. 아등바등 그들 꽁무니를 좇다가 드디어 그들과 나란히 설 수 있을 경지에 이르렀다고 생각할 무렵 또 새로운 것들이 유행하기 시작할 것이다.
유행을 만드는 사람도 있고 그 유행의 선두에 서서 걷는 사람도 있다. 그들이 스타일리시하고 멋지다는 것을 부인하지는 않겠다. 그러나 그들 뒤에는 끝없이 유행의 뒤를 좇지만 결국 유행을 따라잡지 못하는, 세상에서 제일 촌스러운 사람들도 있다. 차라리 유행 따위 신경 쓰지 않고 자신의 길을 걸어 나가는 사람들이 훨씬 멋져 보이는 때가 많다. 돌고 도는 유행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건 그들은 끝내 살아남는다. 유행을 창조하고 선도하던 이들이 지쳐서 끝내 뒤처지고 마는 순간에도 자기 길을 걷던 사람들은 거기 남아서 그들의 세계를 지키며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시인이 되었을 때는 이십 대 초반이었다. 내가 제일 어렸고 그래서 내가 최첨단이 될 수 있을 줄 알았다. 그런데 나도 이제 곧 사십이고 나보다 어리고 잘 쓰고 반짝반짝한 사람들이 수도 없이 등장했다. 그렇다고 이대로 사라질 순 없다. 나는 계속 여기서 나만의 견고한 성을 쌓을 거다. 아무도 저런 성은 쌓지 않는다고 누군가는 비웃을 수도 있겠지만 두고 보자. 나는 살아남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