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고령군, 대가야 궁성지 출토 명문토기 해석을 위한 학술토론회 개최

전병휴기자 /kr5835
등록일 2024-09-09 13:39 게재일 2024-09-10
스크랩버튼

고령군이 ‘대가야 궁성지 출토 명문토기 해석을 위한 학술토론회’를 개최했다.

지난 6일 대가야박물관 강당에서 열린 학술토론회는 대가야읍 연조리(추정 대가야 궁성지 I-1구역 정밀발굴조사) 대가야 궁성지 북벽부 대가야시대 해자 가장 아래층에서 발굴된 ‘대왕(大王)’명 토기편에 대한 해석을 관련 전문가와 함께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밀발굴조사는 2024년 3월부터 대가야 궁성지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 대가야읍 연조리 555-1번지 일원에서 진행했다. 조사 결과 대가야시대 토성벽의 흔적과 해자가 확인돼 학계전문가와 주민들을 대상으로 지난 6월 현장공개 설명회를 개최했었다.

이후 대가야시대 해자 최하층에서 발굴한 유물을 수습·세척하는 과정에서 ‘大’자와 ‘王’으로 추정되는 글자를 양각해 놓은 토기조각을 발견했다.

군은 이에 대한 공개 및 검증을 위해 대구·경북지역 고대사, 고고학 교수 공개 설명회를 개최했고, 참석한 모든 연구자들이 이를 학계에 보고하고 학술토론회를 통한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동의, 이번 학술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토론회는 실제 발굴조사를 수행했던 (재)대동문화유산연구원 김경수 과장의 대가야 궁성지 발굴조사 성과 발표를 시작으로 △대가야 궁성지 출토 토기 명문 ‘大王’에 대한 시론적 검토(백승옥, 사단법인 부경역사연구소) △동아시아에서의‘大王’칭호의 사용과 그 배경(강종훈, 대구가톨릭대학교)에 대한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또한 명문토기를 주제로 고광의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김세기 대구한의대 명예교수, 박천수 경북대학교 교수, 이영식 인제대학교 명예교수, 이영호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이주헌 부산고고학회 회장, 정동락 대가야박물관 관장, 정재윤 공주대학교 교수의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토론회는 고령군 유튜브로 중계됐다.

이남철 고령군수는 “대가야 궁성지 발굴조사로 대가야시대 해자와 해자 내부에서 출토된 대왕명 토기편을 통해 대가야 궁성의 존재를 분명하게 확인하는 큰 성과가 있었다. 오늘 학술토론회를 통해 논의된 결과와 대가야 궁성지 관련 종합학술연구 및 학술대회를 통해 대가야 궁성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이어나가 역사문화도시 대가야 고령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병휴기자 kr5853@kbmaeil.com 

남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