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풍기인삼 농업 국가중요농업유산 등재 가치발굴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김세동기자
등록일 2024-09-05 00:24 게재일 2024-09-06 9면
스크랩버튼

영주시가 5일 풍기인삼 농업의 국가중요농업유산 등재를 위한 가치발굴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국가중요농업유산은 농업 전통과 문화적 중요성을 지니고 전승할 가치가 있는 품목을 국가적으로 인정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정하는 제도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전국에서 18개의 품목이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돼 있다.

경북에서는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 울릉 화산섬 밭농업시스템,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 상주 전통곶감농업 등이다.

영주는 고려인삼의 시배지로서 풍기인삼 농업은 50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

풍기인삼은 조직이 충실하고 인삼향이 강하며 유효 사포닌 함량이 높아 품질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는 2014년 풍기인삼을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으로 등록했다.

2022년에는 영주세계풍기인삼엑스포를 개최하는 등 풍기인삼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있다.

시는 풍기인삼 농업을 2025년까지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받기 위해 준비중이다.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 되면 3년간 15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해 농업유산 자원의 복원과 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또, 세계농업유산 등재를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재훈 영주부시장은 “풍기인삼 농업이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되면 고려인삼의 시배지로서 명성을 회복할 뿐만 아니라 지역 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농촌 관광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풍기인삼 농업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