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으로 열대야가 길었던 여름의 끝자락이다. 언제 더웠냐는 듯이 하루 일교차가 심해지는 가을이 온다. 가을을 잘 나기 위해선 여름의 마지막과 가을의 시작에서 건강 관리를 잘해야 한다. 황제내경이란 책을 보면 더운 여름에 건강관리를 못하면 가을에 열이 오르고 내리는 병에 걸리고 겨울에 심해진다고 했다. 옛 의서지만 무시할 수 없는 내용이다. 나의 현재 건강상태와 관리에 따라서 미래의 건강상태가 바뀐다는 말인데 최근 서양에서도 이런 연구를 하고 있다. 계절이나 기후의 변화에 따른 인체 건강과 질병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각 계절마다의 건강관리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점은 있다. 그 계절에 맞게 생활 하는 것이다. 각 계절의 온도와 태양의 운동에 맞게 우리 인체도 이에 맞게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여름엔 해가 뜨는 것에 맞춰 평소보다 일찍 일어나고 해가 늦게 지는 것에 맞춰 늦게 잔다. 겨울엔 해가 늦게 뜨는 것에 맞춰 늦게 일어나고 일찍 지는 해에 맞춰 일찍 자는 식이다.
여름엔 무더운 날씨로 다른 계절보다 혈액순환이 밖으로 더 많이 몰린다. 계절에 맞게 행동하는 법은 적당하게 땀을 흘려주는 생활을 하는 것이다. 너무 덥다고 에어컨 밑에서 하루종일 생활을 하면 여름 세 달 동안 외부의 기온에 맞춰 작동하는 인체 시계의 균형이 무너져 몸의 균형이 깨진다. 오랫 동안 누적되면 면역력이 떨어지고 개도 안걸린다는 여름 감기에 걸리게 된다. 냉방병으로 인한 감기 증상만이 아니라 현재 코로나와 독감이 다시 유행하는데 이런 질병에도 더 쉽게 걸리게 된다.
잘 때도 에어컨을 틀고 자는 사람들이 많은데 잘 때 만이라도 선풍기를 인체와 다른 방향으로 약하게 틀어 놓고 자는 것이 좋다.
날씨가 선선해지는 저녁엔 밖에 나가서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아직 날씨가 약간은 더울 시기라서 약간의 운동으로 충분한 땀을 낼 수 있다. 여름에 필요한 만큼의 땀을 내는 것은 가을과 겨울에 올 질병을 대비하는 운동이라 생각을 하면 된다. 그리고 제철 음식을 먹는 것이 좋고 찬 음식을 먹는 것은 줄이고 적당한 온도의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피부쪽의 혈액순환이 원활한 더운 날씨는 속은 차가워지기 마련이다. 이때 너무 찬 음식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면역이 떨어지게 된다. 여름에 찬 것을 먹으면 배앓이나 설사 등의 질환에 시달린다는 옛말은 전혀 근거 없는 낭설이 아닌 것이다.
나의 건강철학은 한결 같다. 골고루 먹고 배부르지 않게 먹는다. 일주일에 2~3번은 본인 몸에 맞는 적당한 운동을 한다. 당 지수가 낮은 음식들 위주로 먹고 최대한 간식은 먹지 않는다. 특히 설탕 범벅인 음식들은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다. 우리는 큰병에 걸리면 누구나 운동을 하고 음식관리를 철저히 한다. 당장 현재 내 몸이 괜찮은 거 같다고 먹고 싶은 걸 다 먹고 술과 담배 등을 매일 하고 살면 내일의 나는 어떨지 장담을 할 수 없다. 여름과 가을을 거쳐가는 이 시기에 마음을 다잡고 건강관리를 하자. 내 몸을 사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