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일상에는 몇 가지 짜릿한 순간이 있다. 그것을 자극의 크기순으로 나열한다면 최상단에는 노래나 글을 완성한 순간이 위치할 것이다. 나는 무언가 창작해내는 것이 항상 즐겁다.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가’부터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에 휩싸여 오랜 시간을 보낸 끝에 완성된 결과물. 언제나 그것은 나를 실망시키지 않는다. 내가 만든 창작물은 다른 대중의 취향에는 어떨지 모르지만 적어도 내 취향에는 완벽히 부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나 스스로로부터는 언제나 후한 평을 받곤 한다. 창작이야말로 결코 그만둘 수 없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일이다. 그리고 놀랍게도 내가 가장 좋아하는 그 일이 바로 나의 직업이다.
좋아하는 일, 하고 싶은 일을 직업으로 삼는다는 여러모로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누구나의 인생에는 각자만의 여러 고달픈 면이 있지만 나의 고달픔은 적어도 나의 직업으로부터 오지는 않기에 충분히 자랑할 만 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장점을 가진 모든 일에는 단점도 있기 마련이다. 원하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것에도 어두운 면은 존재한다. 다소 배부른 소리일 수 있지만 누군가 ‘이제는 좋아하는 일을 업으로 삼아야겠어!’라는 결단을 내리기 전에 참고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그 어두운 면에 대해 이야기 해 보려 한다.
문학과 음악은 내게 완벽한 취미였다. 이들은 아주 세련되고 고상한 성격의 취미인 동시에 짜릿했고, 과시하기도 용이하며, 누군가의 환심을 사는데도 도움이 되는 만능의 취미였다. 그런데 이것이 나의 직업이 되면서 나는 나의 소중한 취미를 잃어버리게 되었다. 글을 잘 쓰고 음악에 조예가 있는 것은 그것이 취미일 경우 아주 빛나는 도구가 된다. ‘패터슨’이라는 영화에서 주인공은 버스운전 일을 하며 틈 날 때마다 시를 쓴다. 버스운전기사가 시를 품고 사는 것은 낭만적이며 거기에 어느 정도 역량까지 갖추었다는 것은 상당히 매력적인 일이다. 그런데 시인이 시를 품고 사는 것은 낭만이 아니라 책임이고, 시에 대한 역량을 갖추는 것 역시 응당 그러해야 하는 일일 뿐이다. 인스타그램 알고리즘에 자주 뜨는 의사 인플루언서가 한 분 있다. 수술복이나 가운을 입고 화려하고도 감각적인 일렉기타 솔로 플레이 영상을 올리시는 분이다. 의사가 발군의 기타실력을 가졌다는 것은 그의 삶이 정신적으로도 풍요로움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타리스트가 발군의 기타실력을 뽐낸다면 그것은 그냥 당연한 일이지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없다.
직업 외에 사랑하는 일이 더 있다는 것은 멋진 일이다. 그래서 나도 문학이나 음악과 무관한 새로운 취미를 찾아보려 노력한 일이 있다. 그러나 그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미 가장 좋아하는 일들은 직업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차선과 그다음으로 밀린 일들을 직업으로 삼아야 하는데, 이미 순위에서 많이 밀려버린 일들은 역시 몰입감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사랑했던 일이 지긋지긋해지기도 하는 문제도 있다. 이 일들이 취미일 때는 창작이 잘 안 풀리면 그저 던져놓고 다른 일에 집중하면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것이 직업이 되어버린 이후로는 책임감이라는 것이 생겼고, 타인의 의뢰를 받는 일도 생겼다. 정해진 때에 작품을 납품해야 하는 상황 앞에서 영감이 안 떠오른다거나 창작의 에너지가 고갈되었다는 핑계는 존재할 수 없다. 가장 좋아하는 일을 억지로 해야 하는 순간을 경험한다는 것은 조금 슬픈 일이 되기도 한다.
하고 싶은 일이 직업이라고 해서 하고 싶은 일만 하고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알아둘 만 한 부분이다. 시인도, 싱어송라이터도 소위 말하는 비즈니스 같은 것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일을 따내기 위해 이 사람 저 사람을 만나고 때로는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의 기분을 맞추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일도 생긴다. 기획서니 제안서니 지원서 같은 서류더미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일도 생기고, 그 외에 스케줄을 위해 장거리 운전을 한다거나, 지루한 반복 연습을 한다거나, 세금 문제를 비롯하여 각종 회계 업무를 처리하는 일까지. 때로는 이 일을 꿈꾸기만 하던 시절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부수적이고 성가신 일들을 처리하느라 본업 그 자체보다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기도 한다.
다시 말하지만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삼고 그것으로 먹고 산다는 것은 행운이고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게 내 기본적인 입장이다. 그러나 그게 다는 아니라는 말을 하고 싶은 것이다. 좋아하는 일과 잘 하는 일이 있다면 잘 하는 일을 직업으로 삼고 좋아하는 일을 취미나 사이드 프로젝트 같은 식으로 병행해보는 것도 틀린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