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온 공공기관 지역기여 언제쯤 좋아지나

등록일 2024-09-01 19:23 게재일 2024-09-02 19면
스크랩버튼

대구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 윤권근 시의원은 지난달 29일 대구시의회 임시회 자유발언을 통해 대구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사회에 대한 역할론을 문제 삼았다. 전국 혁신도시로 이전한 150여 개 공공기관의 공통의 문제점이기도 하지만 혁신도시 이주 정책이 펼쳐진 지 10년이 넘었음에도 여전히 공공기관의 지역기여도가 낙제점이라는 게 안타깝다. 대구 혁신도시에는 2012년부터 한국가스공사, 신용보증기금, 한국부동산원 등 12개의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이 신서동 혁신지구로 이전했다. 임직원 수만 4000여 명에 이른다.

공공기관의 혁신도시 이전사업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가장 강력한 조치로 평가되고 있으나 정작 성과는 늘 기대에 못 미친다.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을 통해 지역의 우수 인재가 지역에 남고, 지역에서 물자를 조달하고 관련기업들이 지방으로 이전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해 균형발전을 이루겠다는 것이 공공기관 이전의 취지다.

그러나 지역인재 채용이나 지역물자 활용은 여전히 저조하다. 특히 지역인재 채용은 의무비율을 30%로 높였지만 시행령의 예외 규정을 활용해 지역인재 채용을 실제로는 외면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물품 우선 구매도 2023년 실적이 전체의 10%에도 못 미친다. 가스공사의 경우 전체 1106억원의 11% 정도만 지역에서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상생 노력이 미흡하다는 지적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실질적 진척이나 변화가 보이지 않는 것은 이전 공공기관 임직원들의 의지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공공기관의 지역 기여도와 관련 “지역에 내려와 지역기여를 안하면 공기업으로서 가치가 없는 것”이라 꼬집은 적 있다. 공기업의 지방 이전은 앞으로도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차원에서 지속될 사업이다.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의 대안 사업으로 진행되는 정책인 만큼 해당 공공기관이 정책 취지에 부합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윤 시의원의 지적처럼 소명의식을 가지고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있는 역할을 다해야 한다. 그것이 국가 미래와 지역발전을 위한 일이다.

기자수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