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어쩌다 보니 내몽고 여행

등록일 2024-08-20 18:33 게재일 2024-08-21 18면
스크랩버튼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사상 초유로 두 쪽 난 광복절 행사에 아랑곳없이 징검다리 연휴에 제주도나 해외여행을 즐기려는 사람들은 건국절 논란의 염증(?)을 떨치기라도 하듯 저마다의 목적지로 부담없이 떠났다. 어차피 삶은 여행이니 하찮은(?) 일에 너무 연연해하지 않는 것이 홀가분한 여정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여행은 누구와 함께 하느냐에 따라 방향과 속도가 정해진다. 아무리 지루하거나 빠듯한 일정이라도 사랑하는 사람이거나 마음이 통하는 친구와 함께라면 눈길 닿고 발길 머무는 곳마다 즐겁고 설렘이 가득할 것이다. 여행도 쉼의 일종이듯이, 느긋하고 편안하게 서로를 챙기고 배려하며 즐기다 보면 어느새 낯선 여행지의 풍경이 정겨움으로 다가올 것이다.

반면 빨리 다니며 이것저것 많이 보고 혼자 즐기는 사람이라면 무엇인가에 쫓기는 듯한 주마간산격의 여행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기에 여행은 대부분 어떤 모임이나 친분이 있는 사람들과 함께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것도 꼭 그렇지만은 않아, 어느 날 각기 다른 사람들이 여차저차 만나 우연의 일치로 떠나는 경우도 더러 있다. 그야말로 어쩌다 보니 어떤 계기가 되어 어디론가 무작정 떠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고보니 지난 주 광복절을 전후해 다녀온 해외여행은 정말 즉석에서 던진 말에 우연찮게 동조하면서 어쩌다가(?) 다녀오게 된 것 같다. 길거리나 여행지에서의 우연한 만남이 반가움을 더해 주듯이, 오래 전부터 계획한 일정이 아닌 즉흥적인 발상과 추진이 한결 흥미와 설렘을 부추겨주지 않았을까 싶다.

그렇게 떠난 곳이 내몽고이다. 중국의 다섯 개 자치구 중 첫번째로 지정된 내몽고자치구는 몽골,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지역으로 17세기 무렵 당시 차르 러시아와 청나라의 이익 다툼으로 외몽고(몽골)와 분단되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크게 다르지 않는 슬픈 역사를 지닌 곳이다.

인류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정복을 이룬 불세출의 영웅 징기즈칸은 몽골에서는 영웅으로, 중국에서는 위인으로 추앙받기에 아직도 미스터리로 남아 있지만, 징기즈칸릉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오르도스(궁전) 초원 한 켠에 유택(幽宅)을 마련하는 등 대대로 정복왕에 대한 존숭과 예우를 다하고 있다.

광활한 초원에 말과 양이 풀을 뜯고 군데군데 전통가옥인 몽골포(게르)가 놓여진 목가적인 풍경은 더없이 낭만과 평온함이 느껴지지만, 유목민 몽골족에게는 치열한 삶의 터전이었을 것이다. 또한 평균 해발고도 1300미터의 고지대로 밤하늘의 별들이 더없이 크고 초롱초롱 빛나며, 은하수가 금방이라도 땅으로 쏟아져 내릴 것만 같은데 불현듯 빗금을 치고 사라지는 유성은 찰나의 삶을 일깨워주는 듯했다. 온순한 낙타를 타고 야트막한 사막을 둘러보다가, 그 옛날 아득한 고비사막을 건너며 삶의 고비를 몇 번이나 넘겼을 유목민들을 생각하니 괜스레 애잔함이 묻어나기까지 했다.

그리고 푸른 초원에서 말타기를 해보니 척박한 땅에서 기마민족으로서 세계정복을 꿈꾸며 평원을 우렁차게 달렸을 몽골인들의 기개와 용맹함이 지평선 끝의 먹구름처럼 몰려오는 듯했다.

말 위에서 태어나 말 위에서 살고 말 위에서 바람처럼 사라져간다는 몽골인들의 애환과 운명이 곳곳에 펄럭이는 깃발로 아우성치는 듯했다.

心山書窓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