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혁신의 메카, 우즈베키스탄 면방법인

등록일 2024-07-28 18:15 게재일 2024-07-29 18면
스크랩버튼
장광일 포스코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장광일 포스코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의 기업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혁신 활동을 벤치마킹 하는 ‘포스코인터내셔널 해외법인 우즈베키스탄 면방법인’의 일터 혁신은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동서양을 잇는 실크로드의 중심지이며, 금, 우라늄, 천연가스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한 에너지 대국이며, 세계 5대 면화 생산국이다.

면방법인은 말 그대로 면화를 소재로 하여 연간 면사 5만t, 면직물 4000만m를 생산하며 4개 공장에 4000명의 현지 직원을 고용하고 있어 정부로부터 호평을 받는 기업이다.

하지만 6년 전 컨설팅을 위해 현장을 방문했을 때, 그곳은 매우 낙후되어 있었다. 처음 방적 공장에 가서 공장장의 공정 설명을 들으며 1시간가량 현장을 둘러보고 나왔는데 파란 작업복은 하얀 면화가 눈처럼 덮여 흰색 작업복처럼 보였다.

이렇게 날아다니는 면화를 ‘풍면’이라 하였다. 이 풍면은 작업자의 건강을 나쁘게 할 뿐 아니라, 설비 회전체에 붙어 불쏘시개 역할이 되어 화재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필자는 전 직원이 한 방향으로 가기 위해 ‘풍면 없는 공장 만들기로 누구나 근무하고픈 면방법인’이란 슬로건을 현수막으로 만들어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곳곳에 부착하였다.

그리고 첫 번째로 추진한 것은 풍면량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측정할 수 없다면 개선할 수 없다는 말이 있듯이, 현 수준을 측정하고 목표를 제시하고자 8개소에 가로세로 1m가 되는 사각형 나무 상자를 일정 위치에 두고 1일 뒤에 쌓인 풍면을 거두어 저울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정방 공정이란 곳에서 가장 많은 양인 40g/日이 측정되었다.

두 번째로 한 것은 3명을 1팀으로 구성, 3팀의 개선 리더를 양성하여 이들을 통해 풍면의 고질적 문제를 해결해 나아갔다. 첫 번째 팀은 현재 운영하는 집진기의 성능을 100% 발휘하는 것과 풍면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위치에는 집진 Hood를 추가로 설치하는 과제를, 두 번째 팀은 실의 단선이 되지 않도록 근본 원인을 찾아 해결하고, 설비의 핵심 부품을 최적 관리하는 과제를, 세 번째 팀 이동형 진공청소기 개발 등 청소를 효율적으로 하는 과제를 추진하였다.

활동 8개월 후 풍면 발생량은 90% 이상 감소하였고, 한국 주재원의 현장 Super Clean Day 솔선활동을, 현지 직원은 전원참여 Clean Factory 활동을 실시하여 현장은 아름다운 현장으로 몰라보게 변모하였다.

이후 4개월 뒤 우즈베키스탄 노동조합 총연맹(대한민국 고용노동부에 해당)에서 주관한 Best Company on safety Protection 부분 전국 최우수상을 받았고, 중앙 방송(TV)에도 기업사례가 소개되어 주변의 많은 기업이 벤치마킹 오는 ‘혁신의 메카’가 되었다.

우즈베키스탄에는 ‘첫 번째 만나면 지인이 되고, 두 번째 만나면 친구가 되며, 세 번째 만나면 가족이 된다’는 속담이 있다고 한다. “이렇게 오랜 기간 만나 함께 땀도 흘리고, 현장도 바꾸어 준 컨설턴트는 형제”라고 한 개선 리더의 말이 새삼 되새겨지는 순간이다.

기업과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