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2년 ‘혁신성과 100+1’<br/>TK신공항·달빛철도 사업 추진<br/>새 하늘길·철길 ‘경제영토’ 확장<br/>250만 시민 숙원 식수 해결 속도<br/>대형마트 평일휴무 확산 이끌어<br/>대혁신 마침표격 ‘대구경북통합’<br/>지방위기 넘어 한반도 제2도시로
홍준표 대구시장이 26일 대구시청 산격청사 대회의실에 민선 8기 출범 2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 2년간 대구를 변화시키고 있는 내용을 정리한 ‘대구 혁신성과 100+1’을 발표했다.
‘대구 혁신성과 100+1’은 홍 시장 취임 이후 지난 2년간 중점 추진한 미래, 산업, 민생, 공간, 행정, 재정, 글로벌 등 7대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한 100대 성과와 대구경북 행정 통합의 내용을 담고 있다.
시는 먼저 새로운 하늘길·철길을 열고 경제영토를 확장하는 미래혁신을 이끌고 있다. 대구경북신공항은 지난해 4월 제정된 특별법에 따라 순항 중으로 지난 3월 공공·금융기관 업무협약으로 특수목적법인(SPC) 설립이 추진 중이며, 사업성 보강을 위한 특별법 일부 개정안도 국회 발의됐다.
공항이 빠져나간 자리에는 두바이,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의 장점만을 흡수해 글로벌 규제프리존 K-2 후적지 개발 비전과 방향을 설정했다.
달빛철도는 지난해 8월 헌정사상 최다 국회의원 261명이 특별법을 발의해 올해 2월 제정됐으며, 달빛산업동맹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 수도권에 맞먹는 새로운 남부 경제권 조성의 서막을 알렸다.
난제 중의 난제로 꼽히는 도심 군부대 이전은 통합 이전과 ‘복합밀리터리 타운’이라는 발상의 대전환으로 물꼬를 텄으며, 군위군 편입으로 새롭게 확장된 경제 영토에는 첨단산단, 에어시티, 전국 최초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 등 다양한 인프라로 채워나간다.
또 섬유 등 전통산업을 5대 미래 신산업으로 개편하는 산업혁신 역시 진행 중이다. 섬유산업 몰락 이후 30년째 대체산업을 마련하지 못한 대구의 주력 산업을 ABB(AI,블록체인,빅데이터)·반도체·로봇·UAM·헬스케어 등 미래 5대 신산업으로 개편 중이다.
새로운 경제·문화 활력을 위한 도심 대개조 공간혁신도 이루고 있다. 대표적으로 분지에 둘러싸인 대구를 수변도시로 바꾸기 위해 금호강 르네상스와 함께 신천을 푸른 숲으로 가꾸고 있다.
동성로는 전국 최초 도심 캠퍼스 타운 1호관 개관, 버스킹 등 청년의 활력 공간 조성과 동시에 상권 활성화, 도심 공간구조 개편 등 종합적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도청과 화원교도소 후적지는 각각 도심융합특구와 복합문화공간으로 개발한다.
서대구역세권은 사업 방식을 획기적으로 전환해 추진 속도를 내고 있으며, 노후 주택지를 통개발하는 마스터플랜을 전국 최초로 발표했고, 대구플랜 2040을 통해 시민 중심의 미래형 도시공간으로 개발한다.
아울러 기득권 타파와 행정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행정혁신을 이루고 있고, 빚 없는 예산편성과 세금 낭비없는 재정집행의 재정혁신 역시 이룩하고 있다. 대구대공원 개장에 맞춰 중국으로부터 판다 임대를 추진하는 등 글로벌 대구 위상 글로벌 혁신에도 도전 중이다.
먹는 물 문제 해결과 불합리한 관행·제도 개선의 민생혁신에도 적극적이다.
250만 대구시민의 30년 숙원인 먹는 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맑은 물 하이웨이를 추진하고 있으며, 특·광역시 최초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은 전국 확산을 이끌어 냈고, 지역 숙원인 농수산물도매시장의 이전과 유통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구농수산물유통관리공사를 설립했다. 서구 지역 악취문제 해소를 위해 악취관리지역을 지정·시행했으며, 막대한 자본과 기술을 앞세운 거대 독점플랫폼 기업에 맞선 ‘대구로’는 전국 유일의 성공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반도 제2의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대구경북행정통합에 진심이다.
대구경북행정통합은 지자체간 양적 결합이 아닌 대한민국 최초의 ‘광역지자체간 질적인 통합사례’로, 30년 넘게 변함없던 국가와 지방의 행정체제를 개편하는 대혁신의 신호탄이자 미래 행정체제 개편의 방향타가 될 것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쇠락한 대구를 변화시키기 위해 지난 2년간 숨 가쁘게 달려온 결과, 변화와 혁신의 100+1틀은 모두 완성했다”면서 “대구발(發) 혁신 사례가 길잡이가 돼 대한민국이 선진대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남은 2년도 혁신의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