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선진대국’ 대구발 혁신 속도

이곤영기자
등록일 2024-06-23 19:56 게재일 2024-06-24 4면
스크랩버튼
홍준표 대구시장 시정 구상<br/>연내 SPC설립 위한 민간참여 공모 절차 진행 중<br/>상위 시공능력 10개사 등 47개사 참여 의향 확보<br/>TK행정통합, 국가행정체제 대개혁 모범사례될 것<br/>‘대구경북특별시’ 서울 함께 국가 양대 경제축 형성

-민선 8기 전반기에 대구 미래 50년 비전이 거의 완성단계에 이르고 있다. 전반기 시정혁신 성과와 후반기 시정운영 계획은.

△민선8기 2년 대구가 다시 우뚝 일어설 수 있도록 미래, 산업, 공간 등 전 분야에 걸쳐 100가지 혁신으로 대구를 변화시켜 왔다. TK신공항과 달빛철도로 새로운 하늘길, 철길을 열고, 산업동맹으로 대한민국 남부 거대경제권 조성의 기틀을 마련했다. 군위군 편입으로 특·광역시 중 전국 최대 면적(1499㎢) 확보, 도심군부대 통합이전, 규제프리존 K-2 후적지 개발을 통해 경제 영토를 확장해가고 있다. ABB, UAM, 로봇 등 5대 미래 신산업으로 개편하고, 2년 만에 8조5532억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으며, 제2국가산단 유치 등 산업을 혁신했다.

맑은 물 하이웨이 국가주도 추진,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전환 등 민생 분야에 대해 집중 혁신했다. 기득권 타파와 공공기관 통폐합, 최단기간 청렴도 전국 1위 달성, 민선 출범 최초 2년 연속 지방채 발행없는 예산 편성,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등의 혁신에 대구경북행정통합을 더해 대구혁신 100+1의 틀을 완성했다. 남은 2년은 대한민국이 선진대국시대로 도약할 수 있도록 대구발 혁신의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

-TK신공항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신공항특별법 연내 개정과 SPC 구성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TK신공항 건설은 남부 거대경제권 조성을 통해 지방소멸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 100년 핵심과제다. 지난해 4월 TK신공항특별법이 제정되고 민간공항 예타 면제, 군 공항 기부대양여 심의 등을 거쳐 군 공항 이전 사업대행자(SPC) 선정 절차를 추진 중이다. 개정안에는 초과사업비 국가지원 명시, 민간공항 건설 일부를 대구시에 위탁, 지방채 발행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연내 SPC 설립을 위한 LH 등 공공시행자와 SPC 구성 방안 협의와 민간참여자 공모절차를 진행 중이다. 시공능력 20위권 내 10개사 등 47개사의 사업 참여 의향을 확보했다.

 

-최근 지역 이슈인 대구경북 행정통합의 의미 및 효과와 경북 북부지역의 반대여론 확산 우려에 대한 해결방안은.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100년 이상 된 지방행정조직 대혁신의 출발점이자 대한민국 행정체제 대개혁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다. 통합으로 대구경북특별시는 한반도 제2의 도시가 되어 서울과 함께 대한민국 양대 경제축을 형성하게 된다. 경북 북부지역에는 산단 조성, 통합공기업 이전, 관광산업 활성화 등을 통해 경제적으로 더 발전된 지역으로 만들 것이다.

 

-동대구역과 대구 대표도서관에 박정희 대통령의 동상을 세우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사업 추진의 의미는.

△대구는 국채보상운동의 구국정신, 2·28민주화 운동의 자유정신, 박정희 대통령의 산업화 정신을 품은 긍지 넘치는 도시다. 박정희 대통령의 공과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지만, 5000년 가난과 빈곤에서 벗어나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산업화 정신만은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대구 미래 50년을 위한 산업구조 개편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셨는데 대구의 산업구조는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ABB산업의 경우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사업 선정, 8000억 원 규모의 SK AI데이터센터 건립 MOU 체결 등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반도체 분야는 시스템 반도체에 집중해 R&D 인프라 확충, 기업 유치 등의 성과를 창출해냈다. 모빌리티산업은 모터소부장특화단지 유치, UAM산업 육성 관련 MOU를 각각 체결했고 로봇산업은 국내 유일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조성사업 예타통과 이후 후속절차를 진행 중이다.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다. 현재 추진 상황은.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은 환경부가 종합적으로 검토해 정부 대안(취수량 46만㎥/일+α, 관로신설 L=110㎞, 사업비 1조4200억원)을 마련하고 지역 부단체장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가지는 등 의견수렴 중이다. 7월 중에 정부 대안을 확정할 예정이며 필요시 특별법(예타면제 등) 제정과 후속 행정절차인 낙동강물관리위원회 심의를 연내 완료할 예정이다.

/이곤영기자lgy1964@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