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기관 평가 낙제점<br/>경영활동 전반 신속 진단 나서<br/>가스요금 동결 원인으로 꼽혀
정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고 ‘2023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결과 및 후속 조치안을 의결했다. 경영평가 결과, 한국가스공사에게는 미흡(D)평가와 함께 기관장 경고 조치가 내려졌다.
이에 한국가스공사 경영진은 ‘경영성과 제고 TF’를 즉각 가동한다고 20일 밝혔다.
가스공사는 미흡한 경영평가는 지속된 가스요금 동결에 따른 미수금 증가, 취약계층 요금 인하, 감사원 감사결과에 따른 과거 가스요금 정산 등 일시적인 비용 급증으로 인한 재무 여건 악화, 종합청렴도 평가결과가 낮았던 점 등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따라서 가스공사는 경영활동 전반을 신속하고 철저하게 진단해 경영성과를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 간 15조4000억 원 규모의 고강도 자구대책을 마련해 시행 중이라며 지난해 공급관리소 스마트화(무인화), 해외사업 역대 최대 1조원 회수 등으로 목표 대비 128%를 초과실적 달성, 단체협약 갱신 등 노사관계 정상화, 개별요금제를 시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는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지난해 가스공사는 2022년 대비 이자율 상승(2.93%→3.93%) 및 원료비 미수금 증가 등으로 차입금 평균잔액이 증가해 순이자비용이 6678억원 증가한 1조5615억원이 발생했다.
최연혜 사장은 “글로벌 위기 속에서도 천연가스의 안정적 공급을 통해 민생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자 노력을 기울여왔다”며 “국민의 눈높이에서 경영활동 전반을 되돌아보고 모든 역량을 결집해 더 나은 성과를 창출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미흡 이하 평가를 받은 13개 기관은 내년 경상경비가 0.5∼1.0% 삭감되며, 경영개선 계획을 마련하고 경영개선 컨설팅도 시행해야 한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