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인구 500만의 도시로 도약하자”

이곤영기자
등록일 2024-05-23 20:29 게재일 2024-05-24 2면
스크랩버튼
대구·경북 행정통합 TF 첫 회의<br/>“통합광역지자체 출범 소통·협력”

적극적 인규 유입 정책이 필요한 시대가 도래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행정통합을 위한 대구·경북 실무단(TF) 첫 회의를 23일 오전 11시 대구시에서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 대구시는 황순조 기획조정실장과 정책기획관, 공보관, 광역협력담당관, 행정과장 등이 참석했고 경북도는 김호진 기획조정실장과 정책기획관, 지방시대정책국장, 대변인, 자치행정과장 등이 함께했다.


이날 시·도 실무단은 인력과 자본이 몰리는 수도권에 대응할 대한민국 제2의 통합광역지자체 출범을 위해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또 지난 2019∼2022년까지의 대구·경북행정통합 추진 경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통합방향과 주요 아젠다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들은 이날 이번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화학적 결합을 통한 질적 통합이 돼야 한다는데 의견 일치했다.


특히 최근 대통령이 대구·경북 통합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을 지시하고 행정안전부도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 행정체제개편 카드를 꺼낸 상황이기에 정부의 행정·재정적 지원을 최대한 이끌어내기 위한 신속한 실무적 절차와 준비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심지어 통합 광역단체의 명칭, 위상과 기능, 광역·기초단체 간 사무 분담, 조세와 재정 관계의 재설정 등 특별법에 포함될 내용에 대한 분석과 검토를 위한 대구경북통합추진단 설치 필요성도 공감했다.


대구·경북은 앞으로 대구경북통합추진단이 통합 방안도 검토해 마련하면 행정안전부 등 중앙정부와 협의해 범정부적 논의를 거쳐 합리적인 통합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호진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저출생 극복을 위한 지방시대 개막이라는 도정운영방향 속에서 그간 이철우 도지사가 전략적으로 구상해온 대구·경북통합을 제대로 실현하기 위한 행정적 실무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황순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행정통합 시 대구·경북은 인구 500만의 대한민국 제2의 도시로 도약하는 등 이번 대구·경북 통합 모델은 성공적인 통합사례가 될 것”이라며 “수도권에 버금가는 대구·경북 경제권을 구축하고 더 나아가 광주·전남을 아우르는 남부 거대경제권을 구축해 진정한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