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리뷰 / 2024 기억공작소Ⅱ 안종연전 Light of Moha in Bongsan<br/> 7월 14일까지 대구봉산문화회관<br/> 생명의 근원인 빛에 매료된 작가<br/> 40년간 다양한 매체로 예술활동<br/>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 표현 위해<br/> AI·신소재 활용 등 실험적 시도<br/>“전시는 작업이고, 작업의 연장”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설치미술가 모하(Moha) 안종연(72)의 개인전 ‘Light of Moha in Bongsan’이 오는 7월 14일까지 대구 봉산문화회관 4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다. 봉산문화회관이 연간 4개의 전시를 자체 기획해 운영하는 기획전 기억공작소 올해 두 번째 전시다.
안종연 작가는 부산 출신으로 생명의 근원인 빛에 매료돼 지난 40여 년간 다양한 매체로 빛을 표현해 왔다. ‘빛의 작가’로 통하는 그는 캔버스를 필두로 나무에, 스테인리스에, 유리에, 빛을 그려왔다. 표현방식도 다양해 드로잉, 조각, 설치, 미디어아트, 과학적 신소재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전방위적 예술활동을 이어왔다.
모하(牟河·Moha)는 ‘우주를 유영하는 소’라는 의미를 담은, 안종연 작가의 호다.
세계적 건축가와 컬래버레이션한 교보문고 광화문점의 천정 조형물 ‘좌화취월’과 제주도 휘닉스 아일랜드의 ‘광풍제월’ 그리고 영월군 동강생태공원에 설치한 ‘수광영월’이 작가의 공공미술 대표작이다.
또한 박범신의 소설 ‘주름’과 ‘고산자’ 등을 시각언어로 형상화한 ‘시간의 주름’(2010)전, 미술 한류의 가능성을 증명한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초대전 ‘빛의 날개’(2013)전 등으로 주목받았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소재인 ‘빛(light)’을 주제로 한 작품을 선보인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인간 존재와 시간, 우주 세계의 동경이 주요 키워드다.
전시실 정면에 거대하고 육중한 점을 기점으로 구슬들을 곳곳에 심어 우주를 중심으로 떠도는 빛점을 설치했다. 투명한 유리구슬이 빛을 발해 색 그림자로 공간을 드로잉하고, 빛으로 제작한 영상은 빔프로젝트를 통해 전시실 벽면에 빛줄기를 긋는다. 반대편에는 다양한 방식의 빛을 감추듯 드러내는 방법으로 빛 드로잉을 했는데, 이는 처음 시도하는 실험작이다. 두 개 공간의 빛나는 빛과 시작하려는 빛은 ‘New Days Dawning’이고, ‘Light of Moha’인 것이다. 전시실에 모인 빛점은 우주 공간을 유영하는 어떤 누구이고 당신이며, 그 속에 맑은 빛은 아주 특별하고 다양하며 또 신비롭다. 우리는 제각기 다양한 달란트를 가진 아주 특별하고 작은 모습이지만, 내면에 빛나는 강렬한 점 하나로 인해 무한한 우주 속에서 존재하게 한다. 내면의 빛점 하나 그리고 하나 또 하나 모여 세상을 이롭게 밝히고 우주를 품는다.
빛으로 인간의 존재에 대해 이야기하며 인간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이 더해져 우주를 품는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작가는 이번 ‘빛’을 위해 AI를 처음 다뤄 영상을 제작하고, 신소재인 광 확산 필름을 활용했다. 넘어진 후 다시 얻은 삶을 살면서 새로운 것을 공부하고 작업하는 것이 행복이자 삶의 원동력이라는 안 작가는 “전시는 작업이고, 작업의 연장”이라고 말한다.
김영숙 봉산문화회관 큐레이터는 “안 작가는 가진 시간과 체력을 작업에 할애하고, 새로운 것을 섭렵하려는 노력에 억척을 첨가해 이번 전시를 만들었다. ‘나’ 혹은 ‘인간’의 가치와 존재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찾기 위해 자신의 가능성을 시험하고 새로운 것을 탐구하는 그녀의 작업에 대한 열의를 만나보는 행복한 시간이 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희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