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에서 공부 좀 한다는 애들은 어김없이 도시로 떠나고 그곳에서 공부하고 그곳에서 자리 잡는다. 교육격차로 인해 발생한 인구 유출은 결국 일자리까지 이어져 지역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예천군은 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 발전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과 평생학습 도시 선정 등의 성과를 얻으며 교육명품 도시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
△ 인재가 떠나지 않는 예천
‘교육발전특구시범지역’ 선정으로 예천군은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 지역 주체들과 협력해 공교육을 발전시키고 지역 산업 인프라와 연계해 교육과 일자리가 이어지는 체계를 구축해 나간다.
먼저 초등학생들의 방과 후 돌봄을 책임지는 온종일 돌봄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교육청과 함께 경북형 돌봄거점센터 구축과 늘봄학교 운영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돌봄 공백으로 인한 사교육비 지출을 줄이고 교육 복지의 기초를 닦는다.
또 K-인문 교육을 활용한 공교육 혁신모델을 정립한다. 중·고등학교 인성교육과 학력 신장을 위한 혁신 체계를 만들고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중심의 IB 교육과정을 시범 도입한다. 이를 위해 먼저 IB 수업 탐구학교를 선정해 운영하고 향후 공모를 통해 확대해가며 공교육 안에서 인성교육과 학력 신장 모두 공고해지는 환경을 조성한다.
또 지역 기반 산업과 연계한 인재 양성 체계를 구축해 나간다. 지역산업과 연계한 학제 개설 및 운영으로 지역산업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 일자리로 연결해 인재들이 지역에 남아 발전을 이끌어가는 환경을 만들어간다.
△ 평생 학습 기반 구축
예천군은 ‘인재양성, 화합정주, 생애설계, 기회균등, 미래 창조’의 5대 추진 전략 아래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학습 욕구 충족을 위해 평생 학습 체계를 구축해 왔다.
평생학습관과 경북도립대학교 평생학습원, 경북도민 행복대학교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평생교육지도자와 전문가 양성, 학습동아리 육성과 재취업 교육, 산·관·학 연계 교육, 찾아가는 마을 평생 교육 등을 통해 군민 역량개발과 미래 학습도시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배움에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청각장애인 미술 교육, 시각장애인 노래 교실 등 장애 유형별 맞춤형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성인 디지털 문해 교육, 읍면 행복학습센터, 노인대학, 예천군민 아카데미 등을 통해 지역민의 다양한 교육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 지역 발전은 교육에서
돌봄 공백이 줄어들고 공교육이 공고해지면 교육을 위한 인구 유출이 줄어들고 출생률에도 영향을 미친다. 인구는 지역 발전의 가장 근본이며, 우수한 인재 양성은 지역 경쟁력의 필수적인 요소다.
예천군은 이를 위해 온종일돌봄체계 구축을 준비하고, 초·중·고 학력 신장과 함께 아이들이 꿈을 키울 수 있는 경험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미래교육지구사업과 창의적인재양성사업으로 단샘마을학교와 봉사단을 운영해 아이들의 방과 후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내고장 탐방, 청소년 꿈키움 탐방, 청소년 성장캠프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초·중학교 독서골든벨, 고등학교 맞춤형 진학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고교학점제를 대비해 다양한 공동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군은 앞으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력 신장을 위해 방과 후 특화 교육 과정과 대입 맞춤형 컨설팅을 추진할 계획이며, 글로벌 시대 어학 능력 배양을 위해 영어 원서 독서 교실, 원어민 영어교실 운영을 적극 검토 중이다.
교육은 개인의 발전을 위해서도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며, 최대한 배움에 소외되는 사람이 없도록 노력할 것이다
생애주기에 맞춘 교육으로 군민의 역량과 경쟁력을 높여 지역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