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창한 소나무숲 거닐며 피톤치드 샤워, 건강은 기본 힐링까지

한상갑기자
등록일 2024-04-25 18:43 게재일 2024-04-26 14면
스크랩버튼
포항의 도심 명산 양학산 탐방
포항 양학산은 등산 코스 내내 소나무 숲이 우거져 ‘산소 샤워’를 즐기기에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 제1체력단련장 근처에서 등산객들이 취재진에게 포즈를 취하고 있다.
포항 양학산은 등산 코스 내내 소나무 숲이 우거져 ‘산소 샤워’를 즐기기에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 제1체력단련장 근처에서 등산객들이 취재진에게 포즈를 취하고 있다.

100대 명산을 오르는 것 보다 더 좋은 것은? 동네 뒷산을 200번 오르는 것이다. 어느 산이든 곁에 있는 산이 최고이고, 접근성이 가장 큰 미덕이다. 산은 인(仁)과 통하니 수양에 좋고, 유산소 운동인 등산은 자체로 훌륭

한 건강 수단이자 치료제다. 세계에서 스트레스 지수가 가장 높다는 한국 중장년들이 그나마 잘 버티고 있는 것은 그들을 품어주는 산들이 주변에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번에 소개할 산은 바로 이 컨셉에 가장 잘 들어맞는 곳이다. 도심과 가까이 있고 험하지도 않아 운동화와 물병을 챙기면 언제든지 오를 수 있다. 공기나 물처럼 너무 가까이 있으면 소중한 줄을 모른다고 하는데 자칫 이 산도 이런 범주에 들까 염려되는 곳이다. 너른 품을 열어 일상에 지친 포항시민들을 넉넉히 품어주는 양학산(良鶴山)을 소개한다.

 

양학·대이동 등 도심 주택가 위치

일상에 지친 시민들에게 힐링 명소

양학연당·대성사 등 곳곳에 명소

전통시대 역사·민속·설화도 간직

시청-부학정-양학스위첸 코스 인기

친구·가족·연인 함께 오르기 최적

◆부학산, 양학산, 방장산 등 다양한 이름

양학산은 부학산, 방장산, 연화산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본래 이름은 무엇일까. 먼저, 방장산은 방장산터널 일대의 낮은 구릉을, 연화산은 대성사(大聖寺) 인근의 산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성, 대표성 떨어짐) 다음 양학산은 ‘양학동’이라는 행정동이 들어선(1966년) 후 정해진 일종의 행정명으로 고유성면에서 실격이다.

그런 의미에서 ‘학이 날아오른다’는 뜻의 부학(浮鶴)이 가장 대표성을 띠고, 운치도 있어 본래 이름에 가장 가깝다는 판단이다. 무엇보다 산 주변에 학, 황새와 관련된 설화도 많이 등장해 역사, 고증에서도 유리하다.

이 산은 양학동, 대이동, 학잠동에 걸쳐 있는데 동(洞) 유래가 재미있어 잠깐 소개한다.

양학산 곳곳에 마련된 시민 체육시설.
양학산 곳곳에 마련된 시민 체육시설.

먼저 양학동은 기존에 있던 ‘득량마을’과 ‘학잠마을’ 이름에서 한글자 씩 따와 이름이 유래됐다. 득량의 기원인 ‘득량곡’(得良谷)은 마을에 득량지(池)가 있어 농사와 양식걱정이 없는 마을이라는 유래를 갖고 있다. ‘학잠’(鶴岑)은 뒷산의 묏부리 모양이 학이 내려앉는 모습을 닮았다고 해서 비롯됐다고 한다.

대이동(大梨洞의) 유래도 재밌다. ‘대잠동’(大岑洞과) ‘이동’(梨洞)의 이름이 합쳐진 것인데, 대잠은 마을 한가운데로 산줄기(岑)가 길게 뻗은 데서, 이동은 마을 입구에 큰 배나무가 있어 이 지명이 붙었다.

양학연당 풍경.
양학연당 풍경.

◆KCC스위첸-양학연당-포항시청 코스 유명

보통 양학산 등산로의 기본 코스는 KCC 양학스위첸으로 올라 부학정-양학연당-산림조합 뒤편으로 오른 후 제3체력단련장-이마트(이동점)-이동삼성아파트-방장산터널-전망대를 거쳐 포항시청으로 내려오는 7.5km 코스가 주류를 이룬다.

이 코스의 장점은 크고 작은 소나무숲이 계속 이어진다는 점. 거목들이 군락을 이루거나 역사적 서사를 간직한 것은 아니지만 크고 작은 숲을 펼쳐 산행객들에게 피톤치드 세례를 만끽하게 해준다.

전국적으로 소나무 재선충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지만 이쪽은 해풍(海風) 덕인지 아직은 선방하고 있는 것 같다. 20리길 등산로가 성에 덜 차는 준족들은 서쪽 이동산 쪽으로 진행하거나 동쪽 연화재를 거쳐 아치재로 연장하기도 한다.

전체 산세는 고도 200m 급으로 낮은 편이지만 지세가 평온해 저질 체력(?)들도 부담없이 오를 수 있다.

전망대에서 내려다본 포항 시내 모습.
전망대에서 내려다본 포항 시내 모습.

◆전망대-양학연당-부학정 등 곳곳에 명소

이제 본격 산행에 나서보자. KCC 양학스위첸을 들머리로 잡고 올라 1시간쯤 지나면 아담한 정자가 하나 나온다. 양학동과 대이동을 한눈에 굽어볼 수 있는 부학정(浮鶴亭)이다. 산세가 학의 형상을 띠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아쉬운 것은 정자 이름을 한글로 표기했다는 점. 유감스럽지만 한글 간판으로는 ‘학이 날아오르는 정취’를 전혀 느낄 수 없다. 팝송을 한글로 적어 부르는 느낌이랄까?

다시 북쪽으로 20분쯤 진행하면 ‘양학연당’이 나온다. 등산로에서 살짝 비켜서 있어 잠시 밑으로 내려가야 한다. 여름이면 못에 연꽃이 만발해 주민들에게 눈 호강을 시켜준다. 역시 아쉬운 점은 안내·해설 표지판이 없어 ‘연당’(蓮堂)인지 ‘연당’(淵堂)인지 헷갈린다는 점.

길은 산림조합 뒷산을 거쳐 제3체력단련장으로 연결된다. 서쪽으로 이동산을 잠시 조망하며 걷다보면 이마트(이동점)에 이르는데, 여기서 잠시 도로로 접어들어 이동삼성아파트까지 진행한다.

이동중학교-방장산터널을 지나 비탈길을 잠시 거친 호흡으로 오르면 전체 등산로 하이라이트 ‘전망대’에 이른다. 양학산 최고의 뷰 포인트로 시티뷰, 오션뷰를 두루 즐길 수 있다. 전망대 난간에 서면 영일만의 푸른 파도, 송도해수욕장과 우리나라 근대화의 상징 포스코 전경을 한눈에 굽어볼 수 있다. 전망대에서 서쪽으로 길을 접어들어 하산하면 전체 등산로의 종점 포항시청이 나온다.

바다가 민물과 해류를 가려 받아들이지 않듯, 산도 희노애락 정서를 모두 품어준다. 연인, 벗들과 함께 하는 산은 희락(喜樂)일 것이고, 자녀 진로의 고민이 있는 주부나 시름에 찬 중년들이 오르는 산은 노애(怒哀)의 어디쯤 일 것이다.

맘대로 따라주지 않는 자식으로 고민한다면, 취업·진로 문제로 우울한 청춘이라면, 직장의 진퇴를 놓고 고민하는 중년이라면, 지금 뒷산으로 오르라. 어진(良) 학(鶴)이 답으로 이끌 것이다.

북구 용흥동에 위치한 대성사. 대성사 일대는 옛날에 ‘연화산’으로 불렸다고 한다.
북구 용흥동에 위치한 대성사. 대성사 일대는 옛날에 ‘연화산’으로 불렸다고 한다.

양학산 일대 재미있는 지명들

양학산 일대는 1980년대 이후 대부분 아파트촌으로 변했지만 아직도 군데군데 전통부락들이 많이 남아 있다. 재미있는 옛 지명들을 소개한다.

▷선달각단=옛날에 무과 벼슬인 선달(先達)을 지낸 사람이 이 마을에서 살았다고 해서 유래된 이름이다.

▷사장골(師丈谷)=문씨라는 선비가 현재 양학초교 근처에서 자리를 잡고 아이들을 가르쳤다고 하는 데 이 일대를 사장골이라고 부른다.

▷가마골=마을 지형이 가마솥처럼 생겼다고 해서 유래된 이름이다. 이름처럼 이 골짜기는 겨울에도 따뜻하고 늘 의식(衣食)이 넘친다고 한다.

▷못안(池內), 신지(新池)=득량못 안쪽에 있는 마을을 일컫는다. 이 못은 물이 깨끗해 붕어, 잉어 등 물고기들이 많이 잡힌다고 한다.

▷큰골, 큰동네=학잠동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1974년 포항시 최초 아파트인 학잠아파트(현재 대림힐타운)가 들어섰다. 마을 입구엔 1981년 개장된 양학 시장이 있다.

/글·사진=한상갑기자 arira6@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